<p></p><br /><br />시중은행이 신용대출 한도를 연봉 이내로 줄이며, 이제 마이너스 통장 한도마저 5천만 원으로 조였습니다. <br> <br>대출 규모를 줄이는 것에 이어서 일부 대출이 아예 중단되기 시작했는데요. 대출 보릿고개가 시작됐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마이너스 통장 개설을 계획한 30대 남성 <br> <br>주요 은행이 마이너스 통장의 한도를 5천만 원 이내로 줄였다는 소식에 사업 계획을 당장 바꿔야할 처지에 놓였습니다. <br> <br>[30대 남성] <br>"한 달 두 달 사이에 갑자기 한도가 절반으로 준다든지 금리가 몇 퍼센트가 갑자기 오른다는 건 생각을 못했거든요. 사업하는데 애로사항이 많은 상태입니다. <br><br>우리와 하나, 신한은행에 이어 KB국민은행까지 마이너스통장의 대출한도 축소 대열에 가세했습니다. <br><br>신용대출 규제로 대출수요가 마이너스 통장으로 몰릴 것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은행들이 나선 겁니다. <br><br>NH농협은행은 지난달 부동산담보대출과 전세대출 판매를 중단했고 이후 주요 은행들이 신용대출 한도마저 연봉 이내로 축소했습니다.<br> <br>가계대출 증가율을 5~6%를 넘지 않도록 하라는 금융당국의 규제에 따른 건데, 불과 몇 주 사이에 은행권 전반으로 대출 중단 사태가 확산되면서 실수요자 사이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[30대 예비신부] <br>“아파트 담보대출은 받았는데 7천만 원이 더 필요한 상황이라서요. 신용대출도 줄었다고 해서요. 안 되면 눈 딱 감고 마이너스 통장이라도 뚫어야 하는 상황입니다.” <br> <br>[황세운 /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] <br>“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듯한 느낌이 듭니다.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억제할 필요성은 인정되는데 현재는 실수요자의 수요까지 틀어막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잖아요.” <br> <br>가계대출 규모를 관리할 필요는 있지만 규제 속도는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김문영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