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선 6개월 앞으로…승부 향배 가를 관전포인트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짧다면 짧고, 길다면 긴 180여일의 기간, '대권'을 차지하기 위한 여야 간, 또 같은 진영 후보 사이의 쟁탈전은 더욱 달아오를텐데요.<br /><br />6개월 간 펼쳐질 '대선 극장'의 관전포인트와 변수는 박현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선을 6개월 남겨둔 이번 주말, 민주당 경선은 최대 분수령을 맞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치러진 충청권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과반을 득표하며 대세론을 구가하고 있습니다. 현재까지 누적 유효투표는 3만8,000여표 수준, 이를 훌쩍 뛰어넘는 64만표의 향방이 이번주 일요일 '1차 슈퍼위크'를 통해 결정됩니다.<br /><br />슈퍼위크를 거치며 '이재명 독주' 체제가 굳어질지, 이낙연 후보 등 추격자들에게 역전의 발판이 마련될지가 첫번째 관전 포인트입니다.<br /><br /> "1차 슈퍼위크 결과가 전체 판세와 호남 민심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여권 대선 경쟁에 결정적인 분기점이 될 것으로…"<br /><br />슈퍼위크 직후 치러지는 호남 경선의 결과도 중요 관전 포인트 입니다.<br /><br />역대 민주당 대선 후보는 '20만 호남 표심'에 의해 사실상 결정돼 왔습니다.<br /><br />경선 과정에선 '중도포기'나 '합종연횡'의 변수가 늘 존재합니다.<br /><br />7% 안팎의 득표율로 3~4위권을 달리는 정세균, 추미애 후보가 앞서가는 후보들과 손잡을 경우 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재명 후보가 최종적으로 과반 득표를 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낙연 후보와 결선 투표에서 맞붙는다면 승부를 섣불리 예측하기 어려워 집니다.<br /><br />경선 후유증이 남을 가능성이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경선 과정에서 1,2위 주자·캠프 사이에서 신경전을 넘어선 전면전까지 펼쳐졌던 상황이라, 앙금이 말끔하게 해소되기 위해선 다소 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 '경선 불복'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가운데 균열을 봉합하고, 경쟁 주자들을 '원팀'으로 묶어 내는 건 '기호 1번' 어깨띠를 두르게 될 최종 후보의 몫입니다.<br /><br />국민의힘에서는 이달 중순 공개될 '1차 컷오프' 결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론조사 100%에서 당원 투표 20% 반영으로 수정된 경선룰 아래 치러지는 경선 결과에 따라 결선 표심이 요동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당원 투표 20%를 반영하면서 당원과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높은 지지를 받는 윤석열 후보에게 다소 유리해 졌다는 평가가 나오는데, 최근 지지율 강세를 보이고 있는 홍준표 후보가 1차 경선에서 윤 후보와 경합을 벌이거나 근소하게나마 윤 후보를 꺾을 경우 '홍준표 바람'이 현실화 하며, 국민의힘 경선 구도는 '2강 체제'로 재편될 것이란 분석입니다.<br /><br /> "20~30대 청년층, 특히 남성을 중심으로 홍준표 후보에 대한 인기가 올라가고 있는 상황입니다. 경선에도 적지 않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"<br /><br />국민의힘에서 역시 이달 15일 8명, 다음달 8일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과정을 전후로 단일화가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여론조사 문구 조율 등 과정에서 '역선택 방지 조항'을 놓고 벌어졌던 내홍이 재연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'제3지대'에서 몸을 풀고 있는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간 단일화, 나아가 제3지대 후보와 국민의힘 후보 간 단일화도 야권 판세를 흔드는 변수로 부상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현우입니다. (hwp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