日교과서에서 '종군위안부·강제연행' 표현 사라진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본 교과서에서 앞으로 '종군위안부'라는 용어가 사라지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정부가 종군 위안부가 아닌 위안부라는 표현이 적절하다는 공식 견해를 채택한 지 5개월 만입니다.<br /><br />강제연행도 강제동원이나 징용으로 바뀌게 됩니다.<br /><br />방주희 PD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4월, 일본 정부는 '종군위안부'라는 단어가 오해를 부를 우려가 있다면서 단순하게 '위안부'로만 쓰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종군위안부에는 군에 의해 강제 연행됐다는 뜻이 담겨 있어 적절하지 않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일제강점기 한반도 출신 노동자를 데려가 강제로 노역시킨 것에 대해서도 본인의 뜻에 반해 억지로 데려갔다는 의미의 '강제연행'으로 일괄 표현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내각의 공식 견해 채택 5개월 만에 일본 교과서에서 사실상 '종군위안부'라는 용어가 사라지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일본 문부과학성은 교과서 업체 5곳이 제출한 일제 위안부 및 징용에 관한 기술 수정 신청을 승인했습니다.<br /><br />이들 업체가 출판하는 중학교 사회 등 총 29점 교과서에서 '종군위안부' 표현은 대부분 '위안부'로 바뀌거나 삭제됐고, '강제연행'은 '강제동원'이나 '징용'으로 대체됐습니다.<br /><br />일부 교과서가 '이른바 종군위안부'라는 기술을 유지했지만 현재 일본 정부가 '위안부'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는 내용이 주석으로 추가됐습니다.<br /><br />'종군위안부'는 1993년 8월 4일, 일본군의 책임을 인정하고 위안부 동원에 관한 사과와 반성의 뜻을 표명했던 일본 정부 공식 문서인 '고노담화'에서 사용된 표현입니다.<br /><br />스가 요시히데 내각이 과거 정부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했던 표현에 대해 부적절 견해를 채택하면서 교과서업체에 사실상 수정 압력을 가한 결과여서 논란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주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