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국민의힘, 공수처·국정원으로 공세 전환?

2021-09-11 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정치부 조영민 기자, 사회부 박건영 기자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<br><br>Q1. '고발 사주 의혹'에 대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수사에 나섰는데요. 앞으로 어떻게 되는 겁니까?<br><br>의혹의 핵심은 손준성 검사가 실제로 김웅 국민의힘 의원에게 고발장 등 자료를 건넸느냐 입니다. <br><br>수사의 첫 단추 역시 자료의 실체를 뒷받침 할 물증을 확보하는 겁니다. <br><br>이 때문에 공수처도 압수수색을 서두른 건데요. <br><br>다만 아직 수사 결과를 예단할 순 없습니다.<br><br>어제 압수수색에서 공수처는 김웅 의원과 손 검사의 휴대전화를 확보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의혹 제기 시점인 지난해 4월 사용했던 휴대전화가 맞는지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 <br><br>대검 감찰부도 공수처의 수사결과만 기다릴 수 없는 만큼 자체 조사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사실상 공수처와 검찰의 투트랙 수사가 한동안 진행될 수 있는 겁니다.<br><br>Q1-1. 공수처의 추가 압수수색 가능성에 대해 국민의힘이 어떻게 대응할지도 관심입니다.<br><br>국민의힘은 공수처 압수수색에서 이미 불법이 확인됐다며 압수수색을 재개할 경우 추가 고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><br>앞서 박 기자가 진상조사 중인 검찰이 수사로 전환할 가능성도 언급했는데, 이준석 당대표는 채널A와의 통화에서 "공수처가 압수수색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검찰이 수사에 나서는 건 공수처법 위반 소지가 있다" 지적했습니다.<br><br>국민의힘 내부에서는 검찰이 추가 수사 움직임을 보일 경우 직권남용에 해당한다는 사전 엄포도 나오는 등 당 차원에서 총력 대응을 다짐하는 모습입니다.<br><br>Q2. 국민의힘은 공수처가 별건 수사를 한다는 주장까지 하고 나섰어요?<br><br>불법 압수수색을 넘어 별건수사 주장까지 나온 건 바로 어제 압수수색 과정에서 나온 이 사진 때문입니다.<br><br>공수처 수사관이 김웅 의원실 보좌관 컴퓨터에서 자료를 추출하면서 입력한 키워드를 찍은 건데요.<br><br>조국, 경심, 석열, 건희, 미애, 오수같은 이름이 보입니다.<br><br>PC 안 특정 자료를 추출하기 위해 정치권 주요 인사 등의 이름을 키워드로 넣은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국민의힘은 이번 사건과 전혀 관련 없는 인물들의 이름을 넣은 부분을 문제삼았습니다.<br><br>공수처가 별건수사를 하고 있다는 겁니다.<br><br>저희가 확인한 바로는 어제 공수처가 입력한 키워드는 30개 정도입니다.<br><br>국민의힘은 문제의 PC를 보존하고 있으며 향후 검찰에 불법의 증거로 제출하겠다는 입장입니다.<br><br>Q2-1. 키워드에 대해 공수처는 뭐라고 설명하나요?<br><br>공수처는 당연한 절차라고 설명합니다. <br><br>실제로 수사기관이 압수수색할 때 PC 저장 장치를 통째로 들고가지는 않습니다. <br><br>범죄 혐의와 관련한 자료만 뽑아서 압수하게 되는데요. <br><br>김웅 의원 측에서 의문을 제기한 키워드는 손 검사가 김 의원에게 건넸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고발장에 담긴 단어들이라는 게 공수처 설명입니다. <br><br>고발장 저장 흔적을 찾기 위한 검색이라는 거죠. <br><br>Q3.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폭로와 의혹제기가 나온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죠?<br><br>1997년 대선 직전엔 이른바 '총풍 사건'이 있었죠. <br><br>이회창 후보 측이 안보 이슈를 부각시키기 위해 휴전선 인근에서의 무력 시위를 북측에 요구했다는 의혹이었는데요. <br><br>선거 이후 수사와 재판에서 이 후보와의 관련성은 드러나지 않았습니다. <br><br>2002년 대선을 7개월쯤 앞둔 시점엔 이회창 후보 아들의 병역 비리 의혹이 제기됐는데요.<br><br>결국 문제제기를 했던 김대업 씨가 대법원에서 무고와 명예훼손 등 혐의로 실형이 선고받는 걸로 마무리됐습니다. <br><br>2007년 17대 대선을 앞두고 불거진 BBK 사건은 세 차례의 검찰수사와 특검까지 하면서 9년 간 의혹 제기가 잇따랐습니다. <br><br>Q3-1. 이번 사건도 국가정보원까지 등장하며 공방이 더 격화되는 양상인 거 같아요.<br><br>조성은 씨와 박지원 국정원장과의 만남을 두고도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.<br><br>앞서 리포트에서처럼 국민의힘 지도부와 윤석열 캠프에서는 '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'을 제기하고 있지요.<br><br>지난 2012년 대선 때는 국정원 댓글 사건이 지난 4·7 재보궐선거 때는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의 민간인 사찰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됐는데요.<br><br>대선 국면의 중대 변수가 될 수 있는 이번 사건에서 또 다시 국정원이 등장하며 논란과 공방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