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월 취업자 52만명 늘었지만…제조업·도소매업 타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4차 대유행에도 취업자 증가세가 6개월째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증가폭은 넉 달째 줄었고 제조업과 도소매업의 고용 감소, 그리고 자영업의 위축세가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에 비해 51만8,000명 늘어 코로나 4차 대유행에도 여섯 달째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증가폭은 지난 4, 5월 60만명대에서 6월 58만명대로 줄더니 7월엔 54만명대, 지난달에는 51만명대로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8월엔 정부 공공일자리 사업 인원을 포함한 보건업·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24만3,000명이 늘며 증가세를 이끌었고 건설업에서 12만명이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또, 배달 등 비대면 거래 증가에 힘입어 운수·창고업이 10만7,000명 늘며 뒤를 이었습니다.<br /><br />반대로 도·소매업은 11만3,000명, 예술·스포츠·여가 관련서비스업은 4만3,000명 줄어드는 등 대면 서비스업의 고전은 여전했습니다.<br /><br />7월 소폭 증가세를 보였던 제조업은 자동차 파업 같은 조업 중단 영향에 7만6,000명 줄어 8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은 37만7,000명 늘며 전 연령대 중 최대 증가폭을 보인 반면 30대는 8만8,000명 줄어 18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자영업자의 경우 직원이 없는 사업자가 5만6,000명 늘었고 직원을 둔 사업자는 6만1,000명 줄어 코로나 충격이 계속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이같은 경향은 키오스크 등을 이용한 무인 판매 증가와 여름 휴가 성수기인 8월에도 자영업자가 많은 숙박·음식점이 부진했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한편 정부는 지난달 취업자 수가 코로나 이전 고점인 작년 2월의 99.6%를 기록했다며 방역 위기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