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태풍 북상에 산사태 '비상'...대피 요령은? / YTN

2021-09-16 6 Dailymotion

태풍이 북상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피해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산사태입니다. <br /> <br />예측하기가 쉽지 않은 만큼 인명피해로 이어질 위험도 큰데요. <br /> <br />어떻게 대비하는 게 좋을지, 송세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밤사이 산에서 떠내려온 흙과 자갈, 나무가 마을을 덮쳤습니다. <br /> <br />흙더미에 파묻힌 주택들은 지붕만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2019년 태풍 '미탁' 당시 산사태가 발생한 강원도 삼척의 한 마을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10년간 전국에서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은 축구장 4,700개를 합친 면적에 이르고 60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태풍이 몰고 온 폭우에 강한 바람까지 가세하면 산사태 발생 위험은 더욱 커집니다. <br /> <br />[공하성 /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: 경사가 갑자기 급해지는 곳, 그리고 사면 형태가 오목한 곳, 토양의 상하층 성질이 다르고 하층과 나무 밀도가 넓은 지역이 산사태 취약 지역이라 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주변 지역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청 '산사태 정보시스템' 홈페이지나 '스마트 산림재해' 애플리케이션에 지역을 입력하면 위험 등급이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산사태 취약지역 주민은 자치단체에서 지정한 대피 장소를 미리 파악하고 간단한 생필품을 준비하는 것도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산울림이 들리거나 경사면에서 물이 솟는 등 산사태 징후가 있으면 즉시 대피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대피할 때는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는 게 좋습니다. <br /> <br />또 방송과 인터넷, 재난문자 등을 통해 기상 상황을 계속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송세혁 (shso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1091613410628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