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한편 이재명 지사 측은 화천대유 등 민간 투자자 수익은 높은 위험을 감수한 대가, 라는 취지로 해명했습니다.<br /> <br />그런데 채널 A 취재진이 투자 설명서를 입수했습니다.<br /> <br />그 안에는 이 지사 해명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.<br /> <br />이어서 여현교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트]<br />대장동 개발사업에 참여한 7명의 개인 투자자는 3억 5천만 원을 투자해 4천억 원이 넘는 배당금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례적인 고수익을 놓고 특혜 의혹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재명 캠프 측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, 즉 높은 위험을 감수한 결과라는 취지로 설명합니다. <br /> <br />[이재명 / 경기지사(지난 14일)] <br />"민간사업자들이 자금조달·개발업무·분양처분 등 모든 책임을 지고, 손실위험도 100% 부담했기 때문에." <br /> <br />그런데 이 사업에 7억 원을 출자한 하나은행의 분석은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2016년 당시 투자 설명서에 따르면 사업 위험도가 낮은 걸로 봤습니다. <br /><br />특히 도시개발사업의 최대 난관인 인허가에 대해선 "인·허가권자가 성남시장"이라며 "사업 실시 계획 승인이 무난할 것"이라고 <br />분석했습니다. <br /><br />성남도시개발공사가 토지보상과 인허가 업무를 지원해 위험도를 낮췄다는 내용도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성남도시개발공사는 지난 2015년 민간사업자 공모 지침서에 이런 내용을 적시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권대중 /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] <br />"안정성 있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이 참여하는 사업을 너도나도 하려고 하는데도 불구하고 쉽지 않은 일이거든요." <br /> <br />하나은행은 수도권 택지의 희소가치와 선호도 때문에 분양 위험도 낮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채널A 뉴스 여현교입니다.<br /><br />영상편집: 이혜리<br /><br /><br />여현교 기자 1way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