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중국 견제 안보 동맹으로 평가받는 미국, 영국, 호주 3국 간 '오커스' 결성 발표를 놓고 뒷말이 무성합니다. <br /> <br />호주는 호주대로 들끓고 있고, 프랑스도 매우 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데, 이유가 뭘까요? <br /> <br />김정회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단 호주가 뿔난 건 바이든 미국 대통령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의 이름은 제대로 호명했는데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: 고맙습니다. 보리스.] <br /> <br />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이름 대신 '호주 분'으로 불렀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: 저기 호주 분께도 감사를 표하고 싶습니다. 고마워요.] <br /> <br />호주 언론들은 관련 기사를 잇따라 쏟아내며 불편한 속내를 감추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의 전임 트럼프 행정부도 2017년 3월 브리핑 때 당시 말콤 턴불 호주 총리를 '트룬불'로 불렀다며 미국의 습관이라고까지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프랑스는 프랑스대로 호주 때문에 분기탱천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커스 체결에 맞춰 2016년 프랑스 나발 그룹과 체결한 사업 계약을 호주가 파기한다고 선언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호주에 핵잠수함 기술 이전을 약속한 게 단초가 됐는데 프랑스는 이 때문에 최대 12척의 디젤 잠수함을 공급하는 77조 원 규모의 대규모 사업이 날아가 버렸습니다. <br /> <br />외교·국방 두 장관은 '배신'이라며 핏대를 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[장 이브 르 드리앙 / 프랑스 외무장관 : 뒤통수를 맞았어요. 우리는 호주와 신뢰관계를 맺었는데 배신당했습니다.] <br /> <br />프랑스는 미국에 대해서도 오커스 발표 수 시간 전까지 귀띔조차 해주지 않았다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. <br /> <br />비난을 예상한 듯 바이든 대통령은 발표 당시 프랑스를 콕 집어 거론하며 사태 수습에 나서려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: 우리는 프랑스를 비롯해 다른 주요 국가들과도 긴밀히 협력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EU, 뉴질랜드 등 다른 동맹 사이에도 불만이 잇따라 조만간 UN 총회에서 만날 정상들이 어떤 표정을 보일지 관심이 모아집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정회 (jungh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91822490061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