플랫폼 기업 상생 어떻게…새 성장방법 모색해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간 문어발식 확장과 우월한 지위를 바탕으로 성장해 왔던 플랫폼 기업들의 갑질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제는 새로운 성장방식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소재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카카오가 3천억 원 기금 조성 등의 상생안을 내놨지만, 여전히 소상공인들의 반응은 냉랭합니다.<br /><br /> "대리운전 시장과 헤어샵 등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에서 철수는 언급도 없었습니다. 진정한 상생을 언급하고 싶다면 현재 문제 되고 있는 업종에서 철수를…"<br /><br />여기에 네이버파이낸셜과 카카오페이의 간편결제 수수료가 너무 높다는 지적에 이어,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웹소설 저작권 갑질 파문까지 터져 나오면서 플랫폼 기업을 둘러싼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단, 건전한 경쟁을 위해서 플랫폼 기업들의 독과점을 막기 위한 규제는 필수적입니다.<br /><br />현재, 공정거래위원회는 플랫폼 기업의 우월적 지위를 활용한 불공정행위를 막는 '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' 등의 입법을 추진 중입니다.<br /><br />플랫폼 기업이 신산업에 진출하면 보다 더 적극적으로 기존 산업과의 공존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신산업으로의 진출을 허용하되 기존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실제, 호주에서는 택시 산업의 영역을 파고든 우버가 이익의 10%를 기부하는 방식으로 기존 업계와 공존을 모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새로운 산업이 혁신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상생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하고, 일정 이익 비율을 상생 기금으로 출연해서 같이 발전하는 것이…"<br /><br />문어발 확장과 우월적 지위를 활용해 공룡으로 성장한 플랫폼 기업들.<br /><br />이제 새로운 성장과 분배 방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