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대형마트에 온라인 시장이 성장하면서 유명했던 전통시장도 하나 둘 문을 닫고 있습니다.<br> <br>명절이라 더 쓸쓸하게 느껴지는 현장에 배유미 기자가 가 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한때 70개 넘는 점포가 성업했던 대구의 한 전통시장, <br> <br>이젠 남은 가게가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. <br> <br>불이 꺼진 가게는 폐허로 변했고, 널부러진 집기들이 을씨년스런 분위기까지 자아냅니다. <br> <br>[이귀옥 / 대구 만평시장 상인] <br>"(손님은) 어쩌다 가뭄에 콩나듯이 하나씩 오고 , 마수 못할 때(손님이 하나도 없을 때)도 천진데." <br> <br>지난 7월 관할 구청은 시장이 기능을 상실했다며 전통시장 인정을 취소했습니다. <br> <br>이에 따라 상인들은 시설 현대화 같은 전통시장 지원사업 대상에서 빠집니다. <br> <br>시장이 없어지는 자리엔 주상복합 건립이 추진됩니다. <br> <br>올해 대구에서만 전통시장 4곳이 인정 취소됐고, <br> <br>남은 전통시장도 3곳 중 1곳 꼴로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><br>한때 광주에서 가장 붐비는 곳으로 꼽히던 이 전통시장도 마찬가지. <br> <br>80곳 넘던 점포는 이젠 20곳만 남았습니다. <br> <br>[유덕인 / 광주 서방시장 상인] <br>"지금은 다 창고로 쓰고 그래. 몸도 늙어지도 시장도 늙어서 폐쇄되고 …" <br> <br>시장 주변에 대형 마트와 편의점이 들어서고, 코로나 사태 이후 온라인 시장까지 급성장하면서 전통시장은 설 자리를 잃었습니다. <br> <br>[이순옥 / 대구 만평시장 상인] <br>"이제는 (손님들도) 나이도 있고 하니까 늙어서 다 죽고. (장사) 이제 그만두려고 마음먹고 있죠." <br><br>고객들을 끌만한 자체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, 대부분의 전통시장이 사라질 수 있다는 우울한 전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유미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이기현, 최상덕(스마트리포터)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br /><br /><br />배유미 기자 yum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