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집값 상승률이 벌써 지난해 전체를 훌쩍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급등하는 집값은 우리 경제의 시한폭탄인 가계대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4분기엔 상황이 좀 개선될 수 있을까요?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부동산 고점론에 이은 각종 공급 대책에도, <br /> <br />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(지난 15일) : 주택공급 물량의 조기공급과 이에 더한 추가 공급 역량 확보 등을 위해 민간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. 이에 정부는 그간 전문가와 업계 의견을 여러 차례 수렴해 축적해 왔습니다.] <br /> <br />집값은 아랑곳하지 않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전국 아파트값은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, 무려 10%가 넘게 폭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년 전체 오름폭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, 13.9%를 기록했던 2006년을 넘어, 역대 최고 상승률 기록을 올해 새로 쓰게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집값은 가계대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사태 이후 20대의 은행권 가계대출이 크게 늘었는데, 이 가운데 상당수는 전·월세와 주택 구매용 대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각종 가계부채 대책에도 대출 증가세가 쉽게 꺾이지 않는 배경에, 폭등하는 집값과 전셋값이 있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앞으로도 상황이 개선될 여지가 많지 않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임대차 3법 처리로 촉발된 최악의 전세난이, 부동산 시장을 불안하게 하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은 가운데, 공급 부족 문제도 단기간에 해결하긴 어렵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권대중 / 명지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: (수도권은 물론이고) 지방도 일부 지역은 풍선효과로 가격이 오르고 있습니다. 이런 현상은 아마도 연말까지 지속할 가능성이 있고 더 길게 보면 내년 봄까지도 가능성이 있습니다. 당장 입주 물량이나 분양 물량이 적으면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여기에 정부의 마지막 카드라고 할만한 기준금리 인상도, 현재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단기간에 대폭 단행하기 어려운 만큼, 당분간 집값은 꾸준히 오를 것이란 우울한 전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입니다.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92115281346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