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 해상으로 떠내려갔다 북한군에게 살해 당한 해수부 공무원 사건 기억하시죠. <br> <br>어느새 1년이 지났습니다. <br> <br>유족들은 정부를 향해 월북 딱지라도 떼어 달라며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월북 정황이 있다는 해경의 일방적인 발표에 고3 아들은 군인의 꿈조차 포기했습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가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동생 제사상 앞에서 예를 올립니다. <br> <br>여전히 실종자 상태여서 지방도 없이 치러진 1주기 추모식. <br> <br>경찰은 시신을 못 찾은데다 월북 정황 수사를 이유로 공식적으로 사망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래진 / 피살 공무원 형] <br>"(내년)2주기 때는 동생에게 공식적인 사망이 법적으로 표명하고, 최소한 영정이나 지방이라도 써서 정성을 들여 제사상을 차릴 수 있도록…." <br> <br>월북하다 피살된 것으로 결정되면 유족연금도 받을 수 없는 상황에 고인의 아내와 두 자녀는 앞길이 막막합니다. <br> <br>[피살 공무원 아내] <br>"(고3 아들은) 육군사관학교 가는 게 꿈이었어요. 그런데 군인은 월북자 가족이 있으면 안 된다고 하더라고요. 월북자라는 오명에서 끝난 게 아니라 내 아들의 미래를 꺾어버렸어요." <br><br>아빠를 기다리는 어린 딸에 대한 희망고문도 이젠 멈추고 싶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피살 공무원 아내] <br>"아홉 살인데요. 아빠가 해외에 있는 줄 아니까. 1년째 애한테 거짓말했지만 더 이상은…." <br> <br>야당 대선주자들은 반발했습니다. <br><br>윤석열 전 검창총장은 이 씨의 부인에게 전화를 걸어 "대통령이 되면 꼭 돕겠다"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<br>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도 현 정부를 향해 "'사람이 먼저'가 아니라 '북한이 먼저'"냐고 비판했습니다.<br> <br>청와대는 지난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유감 표명을 그대로 낭독했지만, 가족들에 대한 대책은 없는 상황. <br> <br>[서 훈 / 대통령 국가안보실장(지난해 9월)] <br>"(김정은 위원장은) 문재인 대통령과 남녘 동포들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더해 준 데 대해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뜻을 전하라고 하시었습니다." <br> <br>형 이 씨는 동생의 명예를 훼손한 해경청장과 1년 째 실종 좌표조차 제공하지 않고 있는 국방부 장관을 상대로 법적 조치를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윤재영 <br>영상편집 이희정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