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드론봇이 공중에서 적을 공격하고, 레이저로 적을 조준해 명중률 90%로 사격하는 차세대 전투 모습을 육군이 최초로 <br>공개했습니다. <br> <br>강은아 기자가 직접 체험해 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33그램짜리 초소형 정찰드론이 적의 위치를 파악하자, 자폭드론이 건물 내부로 침투해 폭파합니다.<br> <br>넉 대의 정찰드론이 AI장비를 통해 적은 적색, 아군은 청색으로 구분해 화면을 전송합니다. <br> <br>장애물 개척전차가 도로를 막고 있는 자동차와 철조망을 제거하자 이번엔 소총사격드론의 엄호 아래 다목적무인전투차량이 진입해 사격합니다. <br> <br>군인이 직접 투입돼야만 했던 위험한 작전들이 무인 상태로 가능해지는 겁니다. <br> <br>한 개 분대의 병력을 실은 차륜형 장갑차가 등장합니다. <br> <br>육군의 차세대 개인전투 체계, '워리어 플랫폼'을 장착한 전투요원들이 건물에 진입합니다. <br><br>육군의 개인전투체계인 '워리어 플랫폼'은 적에게 치명타를 가하고, 아군의 생존율은 높이면서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게 특징.<br><br>제가 들고 있는 건 '워리어 플랫폼' 소총입니다. <br> <br>원거리 조준경과 레이저 표적지시기를 장착해 적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압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사격 경험이 전혀 없어도 1시간 정도의 교육으로 90%의 명중률을 자랑합니다. <br> <br>[강정원 / 과학화전투훈련단 병장]<br>"워리어 플랫폼을 착용하고 아미타이거 체계로 전투를 참여하니 전투 효율과 생존성이 높아지는 것은 기본이고 실시간 전장 상황까지 알 수 있어 싸워 이길 수 있는 자신감이 생깁니다."<br><br>'아미타이거 4.0'은 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한 미래 지상전투 체계를 의미합니다.<br> <br>내년 예산만 1조 6천억 원. 군은 오는 2025년까지 2개 대대 규모에 시범 적용한 뒤 사단·여단급으로 점차 확대해나갈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은아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장명석 <br>영상편집 손진석<br /><br /><br />강은아 기자 eun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