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북지역 도시도 인구감소…위기 극복 안간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북지역은 저출산·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국내 소멸위험 지역 12곳 중 가장 많은 6곳이 포함돼 있어 우려가 큽니다.<br /><br />포항을 비롯해 인구 10만 명 이상의 도시에서도 인구감소가 계속돼 지자체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지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 "응애, 응애"<br /><br />아기가 힘찬 울음을 터뜨립니다.<br /><br />이 병원에서 태어난 92번째 아이입니다.<br /><br />곧 100번째 출산을 앞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9월 문을 연 이 병원은 경북 영천에 하나밖에 없는 분만 산부인과입니다.<br /><br />영천시 인구는 2011년 이후 계속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10년 전 10만 4,000여 명(4,182명)이었던 인구는 6년 동안 3,500명 넘게 줄었습니다.<br /><br />농어촌 지역뿐만 아니라 도시 지역으로도 인구소멸 위험이 현실화 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영천시는 우선 산부인과를 만들고 돌봄센터를 운영하며 마음 편히 아이를 낳고 키울 수 있는 환경 조성부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 "대도시로 출산하러 가는 어려움도 있고 또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 취임하고 나서 우선적으로 추진한 것이 분만 산부인과를 유치하려고 노력했습니다."<br /><br /> "여기서 새 생명이 태어나고 자랄 수 있는 그렇게 (환경이) 바뀐다면 또 인구도 늘어나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3년 전부터 인구는 다시 조금씩 늘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4월 기준 영천의 인구수는 10만 2,529명으로 10년 만에 최대 인구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경북 유일의 인구 50만 대도시 포항도 인구감소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015년까지만 해도 약 52만에 달했던 인구는 5년 만에 1만6,600여 명이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시는 인구 50만 유지에 온 힘을 쏟아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철강산업에만 집중해 경직된 지역 산업 구조가 인구 유출의 원인이란 분석에 따라 산업 체질 개선에도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장기화된 코로나19 사태로 지역 제조업의 위기가 지역 산업기반을 붕괴시키면서 인구 유출이 더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큽니다.<br /><br /> "정체된 산업 구조, 여기에서 더이상 확장성이든지 성장 이런 부분들이 제약을 받지 않을까 (판단하고 있습니다.) 그러다 보니까 인구감소가 따르는 거고…"<br /><br />산업구조 변화에 집중하고 있는 시는 2차 전지와 수소연료전지, 바이오·헬스 등 신산업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