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:30~19:00)<br>■ 방송일 : 2021년 9월 27일 (월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구자홍 동아일보 신동아팀 차장, 김종혁 전 중앙일보 편집국장(최재형 캠프 언론·미디어 정책총괄본부장), 이승훈 변호사,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위례신도시 사업 문제였다는 게 야당의 주장인데. 그런데 지금 오늘 여러 얘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그 가운데 하나는 이거였어요. 대장동 특혜 의혹의 키맨으로 불렸던 남모 변호사. 그러니까 천화동인의 4호 실소유주인데. 그의 부인은 위례신도시 개발 사업의 임원이었고 그래서 배당금 잔치를 벌였다. 이런 새로운 내용이 나왔습니다. <br><br>[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]<br>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냐면 지금 이번의 천화동인 같은 경우는 사업 구조를 보면 보통주, 우선주. 이렇게 나눠지지 않습니까. 그런데 지분이 7%밖에 안 되는 천화동인하고 여기 SK증권에 들어간 특정금전신탁. 여기가 사실은 전체 수익의 절반 이상을 가져갑니다. 그런데 나머지 성남도시개발공사 등등 같은 경우는 그렇게 큰돈을 가져가지는 못해요. 이런 사업 구조가 어떻게 이렇게 이뤄질 수 있는가. 이게 사실은 2013년에 있던 위례신도시 사업을 보면 그대로 판박이로 이뤄졌다는 거예요. 왜냐하면 위례신도시라는 게 서울하고 하남하고 성남이 같이 얽혀있는 지역입니다. 여기에 위례신도시 사업이 벌어졌는데 당시에 성남시가 여기 성남도시개발공사가 참여했는데. 당시 사업구조가 이번 화천대유하고 사업구조하고 거의 똑같다는 거예요. <br><br>거의 비슷한 형태로 해서 이때 당시에도 2억 5천만 원 출자를 해서 150억 정도 되는 이익 배당을 갖고 왔는데. 문제는 당시에 천화동인도 1호부터 7호까지 있었지 않습니까. 여기에 1호부터 3호까지 있거든요. 거기 2호 같은 경우에 바로 남모 변호사가 천화동인 4호했던 그 변호사의 부인이 바로 여기 주주가 되어 있는 거예요. 3호도 마찬가지입니다. 그렇다 보니까 어떤 면에서 보면 위례신도시 사업의 성공을 모델로 해서 실제 대장동 개발이 이뤄졌고. 그 사업 구조가 바로 성남도시개발공사 유동규 씨라든지 남모 변호사라든지. 바로 이런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위례신도시 때 구성했던 사업 구조를 그대로 대장동에 가져왔다. 이런 추정이 가능한 겁니다. 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정우식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