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화천대유, 천화동인 이들 멤버들이 대장동뿐 아니라 다른 개발에도 참여해 막대한 수익을 노렸거나 얻은 정황이 나오고 있습니다. 사회부 정현우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0. 먼저 관련 속보가 있죠? 이성문 화천대유 대표가 전격 사임을 했어요. <br> <br>2시간 전쯤 이성문 대표가 직접 문자메시지를 보냈는데요. <br> <br>대표이사에서 이미 물러나 회사를 대표해 이야기를 드릴 입장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이 대표는 회사 자금 인출과 관련해 서울 용산경찰서에서 입건 전 조사를 받아왔는데요. <br> <br>공교롭게도 경찰은 이 사건을 오늘 경기남부경찰청에 배당하고 정식 수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검찰도 특별수사팀을 꾸리기로 하면서 동시 다발 수사가 시작되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Q1. 대장동만 해도 수천억 벌었다고 하는데, 다른 곳도 더 있다는 거잖아요. 대장동 투자자 중 누구를 주목해야 합니까. <br> <br>지금 핵심 인물로 꼽히는 투자자들, 하나씩 살펴보죠. <br><br>어제 경찰 소환조사를 받은 대주주 김만배 씨, 대장동 개발부지의 자산관리를 맡은 화천대유 이성문 전 대표, 그리고 차명 투자 의혹이 불거진 남모 변호사와 정모 회계사입니다.<br> <br>대장동에만 투자를 한 게 아니라요. <br> <br>성남 위례신도시와 안양 박달동에도 이들이 참여했거나, 참여하려 한 흔적이 드러나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<br> <br>Q2. 위례도 대장동 판박이라면서요?<br><br>네, 일단 대장동과 기본적으로 사업 구조 자체가 똑같습니다. <br><br>시와 민간 사업자들이 공동으로 합작해서 이 사업만 진행할 회사를 하나 만들고요. <br> <br>여기에 민간 투자자들이 다시 지분을 얻는 방식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겁니다. <br> <br>성남의뜰, 화천대유, 천화동인으로 이어지는 익숙한 구조입니다. <br><br>당시 위례 개발사업에 투자한 회사들 등기를 떼 보니까요. <br> <br>2명의 여성 이사가 등장하는데, 알고 보니 대장동 사업의 남 변호사, 정 회계사의 아내였습니다. <br> <br>사업구조만 똑같은 게 아니라 이 사업에 참여했던 인물도 겹치는 부분이 있는 겁니다. <br><br>위례신도시는 이미 개발이 끝나 지난 2017년 수익을 배당했는데요. <br> <br>약 300억 원 가운데 절반은 성남도시개발공사가 받았습니다. <br> <br>다만 나머지 150억 원은 주주와의 협약에 따라 배당이 됐다고만 공개돼 있어서, 구체적으로 얼마를 벌었는진 확인이 필요합니다. <br> <br>Q3. 자, 대장동 이후에는 안양으로 갔습니다. 여기도 규모가 1조 원이나 되는 사업이라면서요? <br> <br>네, 안양 박달동에 있는 군부대 부지에 추진 중인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인데요. <br> <br>여기에도 남모 변호사가 등장합니다. <br><br>대장동 개발 당시엔 천화동인 4호라는 이름으로 투자했는데 회사 이름을 NSJ홀딩스로 바꾸고 이 사업에 참여하겠다는 의향서를, 그것도 전체 105개 업체 가운데 제일 먼저 낸 겁니다. <br><br>안양시는 지난 16일 공모 절차를 돌연 취소하고 전면 재공모에 들어갔는데요. <br> <br>대장동 개발 의혹과는 관련이 없고, 공모 조건을 완화하자는 의견 때문이라는 게 안양시 해명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미 지난달 말부터 불거진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는 게 부동산 투자업계의 해석입니다. <br><br>안양시는 특정 업체를 사업에서 배제할 순 없다면서도, <br> <br>NSJ홀딩스가 다시 사업에 공모하면 논란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숙고해보겠다는 입장인데요. <br><br>향후 사업이 어떻게 진행될지, NSJ홀딩스가 이 사업에 참여한 경위는 무엇인지, 따져볼 부분이 아직 많습니다. <br> <br>Q. 자, 소수의 개발 업자가 개발 이익을 사실상 독점하다시피한 건데, 이거 뭔가 문제가 있는 것 아닙니까? <br> <br>네, 불과 8년 사이에 경기도 남부지역 개발사업들에 사실상 같은 회사들이나 인물들이 반복적으로 뛰어들어 수천억 원의 배당을 받았다,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입니다.<br><br>이 때문에 사업 요건을 특정인들에게 맞춘 건 아닌지 수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 <br>수사기관이 미온적이라는 지적이 많은데, 움직일지 지켜봐야겠습니다. 사회부 정현우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