北 신형 미사일 국제사회 우려…美 "외교 노력 계속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에 국제사회가 우려의 시선을 보내면서도 외교적 해법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미 당국자는 여전히 북한이 대화 테이블로 나오길 바란다고 거듭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보니 젠킨스 미 국무부 국제안보·군축차관은 스위스 제네바 안보정책 센터 행사에서 북한의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와 관련해 추가 정보를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미국은 북한과의 외교 증진을 계속 시도하고 있고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데려오기를 바란다"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신형 미사일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면서도 여전히 대화와 외교적 해결에 무게를 싣고 있음을 거듭 확인한 것입니다.<br /><br />앞서 미 정부 당국자도 북한의 극초음속 신형 미사일 시험과 관련해 "구체적인 내용을 확인 중이라며 북한의 새로운 능력에 대한 어떠한 보도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"고 밝혔는데, 여기엔 미 정부의 대북 논평에 단골로 등장하던 '대화 재개' 문구가 등장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유엔에서도 우려와 함께 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스테판 두자릭 유엔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"매우 충격적인 보도"라면서도 "우리는 여전히 한반도의 발전을 위한 유일한 길은 당사자들의 외교적 관여라고 확신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시드니 사일러 미국 국가정보위원회 북한 담당관은 북한이 내부에 미칠 영향을 우려해 한국과 지속적 관계 개선을 원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지속적 관계 개선 시 북한에 발생할 문화적, 정치적 영향 또 이로 인해 지불해야 할 비용이 북한으로선 부담이라는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북한이 언제 미사일 시험을 할지, 다음 회담이 언제 열릴지 보다 비핵화한 북한이라는 좀 더 장기적인 전략적 과제에 초점을 둬야 한다며 북한이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고 한미동맹을 분열시킬 수 있다고 오판하지 않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