김정은 "10월 초부터 남북 통신선 복원"…미국은 비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통해 대남 메시지를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김 위원장은 단절된 남북 통신선을 10월 초부터 복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년 5개월여 만에 북한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 나선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남북관계와 한반도 정세를 평가하고 대남정책을 밝혔다고 북한 매체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 "일단 10월 초부터 관계 악화로 단절시켰던 북남 통신연락선들을 다시 복원하도록 할 의사를 표명하시었습니다."<br /><br />통신선 복원 결정에 대해 김 위원장은 남북관계 회복과 평화를 바라는 민족의 기대와 염원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김 위원장은 남측에서 각종 군사 연습과 무력 증강이 이어지고, 북한을 자극하는 불순한 언동을 계속하고 있다며 남북관계가 회복되느냐, 아니면 악화 상태가 지속되느냐는 남측 당국의 태도에 달려있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남측을 도발할 목적도, 이유도 없고 위해를 가할 생각이 없다면서 남측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해야 한다는 '망상'과 위기의식, 피해의식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종전선언과 관련해선 북한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김 위원장은 "종전을 선언하기에 앞서 서로에 대한 존중이 보장되고 상대방에 대한 편견과 이중적인 태도, 적대적 관점과 정책들부터 먼저 철회돼야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다소 유화적인 대남 메시지와 달리 미국 바이든 행정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 "새 미 행정부의 출현 이후 우리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위협과 적대시 정책은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으며 오히려 그 표현 형태와 수법은 더욱 교활해지고 있다고 하시면서…"<br /><br />김 위원장은 미국이 '외교적 관여'와 '전제조건 없는 대화'를 주장하지만, 그것은 적대 행위를 가리기 위한 허울이며, 역대 미 행정부가 추구해온 적대 정책의 연장에 불과하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최고인민회의에서는 최고권력기구인 국무위원회 위원을 새로 선출했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과 조용원·박정천 당 비서 등이 국무위원으로 새로 이름을 올렸고 김덕훈 내각 총리는 박봉주의 뒤를 이어 국무위 부위원장을 맡았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