집값 상승폭 주춤한데…2030 패닉바잉 영향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수도권의 아파트값 상승 행진이 최근 주춤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집값 오름세의 피로감이 커지고 대출도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그동안 상승장을 이끌어온 30대 이하 젊은 층의 매수세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 들어 8월까지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건수는 3만9,099건입니다.<br /><br />이 가운데 30대 이하의 매수 비중은 41.8%로 2019년 30.4%에서 2년 연속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중저가 아파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서구와 성동구, 노원구 등의 30대 이하 매수 비중이 평균치를 웃돌았습니다.<br /><br />날이 갈수록 오르는 집값에 지금 아니면 내 집 마련이 영영 어려울 것이라는 2030세대의 불안감이 올해도 계속됐단 얘기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같은 추세가 계속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 "금리인상과 대출 강화 등 수요 측면에서도 시장여건의 변화 요인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조이기에 들어가면서 주택 가격 흐름을 한두 달 앞서 보여주는 매매수급지수는 최근 3주 연속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지수가 100을 넘어 여전히 집을 팔겠다는 사람보다 사겠다는 사람이 많지만 매수심리가 꺾인 것만은 분명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 역시 주춤해진 양상입니다.<br /><br /> "시간이 점점 늘어져요. 갈수록. 매도 시점이 예전에는 (집을 내놓은 뒤) 한 달 이내 거래가 됐는데 지금은 2개월, 3개월 이렇게 조금씩 늘어진다는 거죠."<br /><br />다만 아직은 정부의 주택 공급 효과를 기대하기는 이른 상황인 데다 전세 수급 불안도 이어지고 있어 젊은 층의 아파트 매매 수요 전환이 잦아들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