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스피가 인플레이션 우려와 중국 헝다 그룹 사태 등 악재가 겹치면서 반년여 만에 3,000선이 무너졌습니다. <br /> <br />뚜렷한 호재가 없어 당분간 불안정한 흐름을 이어가리란 전망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종수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스피는 전장보다 1.89% 내린 2,962.17에 장을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종가 기준으로 지난 3월 10일 2,958.1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 지수가 3,000선 아래로 떨어진 것은 3월 24일 2,996.35 이후 6개월여 만입니다. <br /> <br />삼성전자, 네이버, 카카오 등 시총 상위 종목들도 맥을 추지 못했고 셀트리온은 3분기 실적 부진 전망에 12% 급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닥지수는 2.83% 급락해 955.37에 거래를 마치며 4개월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글로벌 다발성 악재가 투자심리를 급속히 악화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전날 국제유가가 서부텍사스산 원유 기준으로 약 7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물가 상승이 경제 회복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우려를 확산시켰고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도 상승한 데다 미국 의회의 부채한도 협상도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해 불확실성을 거둬내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전날 홍콩 증시에서는 최근 파산설에 휩싸인 헝다 그룹의 주식 거래가 중단됐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재개 조짐까지 보이면서 투자심리를 급격히 위축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6월 3,300선이던 코스피는 지난 7월부터 월간 기준으로 세 달 연속 빠지며 조정을 겪어 왔습니다. <br /> <br />당분간 변동성이 큰 불안정한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[박광남 /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장 : 일단은 현재 시점에서 당분간 저희가 쉽게 반등을 줄 만한 모멘텀 자체가 찾기가 어려운 환경임에는….] <br /> <br />다만 미국 부채 협상 타결 등 정치 리스크가 해소되거나 본격적인 실적 시즌을 맞아 호실적이 나온다면 이달 중순쯤에 반등의 기회를 맞을 수 있단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광남 /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장 : 인플레이션 우려나 여러 가지 병목현상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이익을 잘 방어해 낸다면 정책이 어느 정도 정상화하더라도 시장에선 악재로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거든요.] <br /> <br />원-달러 환율은 연중 최고점인 1,188.9원 까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전장 종가와 같은 1달러에 1,188.7원에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종수입니다.<br /><br />YTN 이종수 (js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00517542881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