살아나는 대형사 어두운 저비용사…항공업도 'K자 양극화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해외여행길이 여전히 풀리지 않으면서 항공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도 대형 항공사들은 화물 수송으로 실적이 개선되고 있지만 여객 운송 위주인 저비용 항공사들은 이런저런 사업으로 몸부림 쳐보지만, 앞이 잘 보이지 않는데요.<br /><br />양극화하는 항공업계 사정, 이재동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제주항공은 지난달부터 비행기 조종 유료 체험 공간을 운영 중입니다.<br /><br />조종사 훈련에 사용되는 고가의 비행 시뮬레이터 장비와 넓은 스크린을 마련해 실제 항공기를 조종하는 기분을 느끼도록 했습니다.<br /><br />수익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지만, 여행의 간접 경험을 제공해 억눌린 여행 수요를 선점하기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 "여행하고 싶은 욕구들을 대신 직접 비행기를 한 번 조종 체험을 해보는 것으로 대체를 해보는 취지로 준비를 하게 됐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저비용 항공사들의 3분기 실적은 모두 수백억 원대 손실을 낸 것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'트래블 버블'을 체결한 사이판 노선은 수요 회복 조짐이 보이지만 중국·일본·동남아 등 주요 노선의 회복이 더딘 탓입니다.<br /><br />출혈 경쟁 중인 국내선 여객 수도 5월 310만5천 명을 정점으로 하락세입니다.<br /><br />반면,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화물 운임 상승과 물동량 증가로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작년보다 크게 증가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예정대로 통합까지 이뤄지면 그 격차는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 "국내 1·2위가 결합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경쟁 제한성의 문제는 저희들이 보다 심도 있게 봐야되는 게 맞고요."<br /><br />공정위가 연내 양사 결합심사를 마치겠다고 밝힌 가운데 정부는 항공사들의 코로나 이후 경쟁력 강화 방안을 고심 중이지만 뾰족한 수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