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벨상 6개 부문 중에서 가장 일반의 관심도가 높은 상은, 노벨 평화상일 겁니다. <br /> <br />올해 노벨 평화상은 환경 운동이나 보건 단체 관련 인물이 선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는데요, <br /> <br />어떤 후보들이 있는지 윤현숙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노벨 평화상 수상자가 오늘 오후 발표됩니다. <br /> <br />AP와 로이터통신은 올해는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와 코로나19 대유행 지속으로 환경, 보건 관련 단체나 인물이 수상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. <br /> <br />스웨덴 청년 환경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유력한 후보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올해는 기후 위기가 세계 중요 현안으로 부각돼 툰베리의 수상 가능성이 점쳐집니다. <br /> <br />[헨릭 우르달 / 오슬로 세계평화연구소 : 기후 변화는 우리가 직면한 세계적 위협이 되었기 때문에 기후 변화와 관련된 운동을 해온 단체나 개인이 노벨 평화상을 탈 수 있는 유력한 후보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툰베리가 노벨 평화상을 받게 되면 탈레반의 총격에서 살아남은 말랄라 유사프자이에 이어 두 번째로 어린 노벨상 수상자가 됩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대유행을 막기 위해 분투 중인 세계보건기구, WHO와 글로벌 백신 공동구매 프로젝트 '코백스'도 빼놓을 수 없는 평화상 후보입니다. <br /> <br />벨라루스와 러시아 등 장기 집권 정권에 맞서는 인사들도 유력후보로 거론됩니다. <br /> <br />벨라루스에서 26년 권위주의 정권에 대항해 민주화 시위를 주도했던 야권 지도자 스베틀라나 티하놉스카야 등 여성 3인방은 비폭력 저항으로 평화상 후보의 자격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습니다. <br /> <br />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정적으로 꼽히는 러시아 야권 운동가 알렉세이 나발니도 눈에 띄는 후보입니다. <br /> <br />'홍콩 민주화 운동'과 '흑인 목숨도 소중하다' 운동도 평화상 수상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노벨 평화상은 정치적 특성 때문에 나머지 노벨 상보다 더 많은 논란에 휩싸여왔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BBC는 취임 9개월 만에 수상한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과 로힝야족 탄압으로 비난받은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등을 논란을 불러온 역대 수상자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수차례 후보에 올랐지만 수상에 실패한, 20세기 평화운동의 상징인 인도 정치자 마하트마 간디는 가장 눈에 띄는 탈락자로 꼽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윤현숙입니다.<br /><br />YTN 윤현숙 (yunhs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100815375614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