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세계적인 멸종위기종 푸른바다거북이 우리 해양국립공원에서 헤엄치는 장면이 처음으로 영상에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주로 아열대 해양에서 서식하는데, 우리 바다 온도가 상승하며 올라온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황규락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느러미로 날갯짓을 하듯 유유히 암초와 물고기떼 사이를 누비는 거북이 한 마리. <br> <br>무분별한 남획으로 멸종위기종이 된 푸른바다거북입니다. <br><br>주로 열대나 아열대 바다에 서식하는데, 지난 8월 괭이갈매기가 집단 서식하는 홍도 인근 수심 12미터 바다에서 포착됐습니다.<br> <br>[양두하 /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장] <br>"해수 온도가 상승하는 봄 여름철에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해안 바다에서 종종 발견되는데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" <br> <br>성체가 되면 최대 2미터, 몸무게는 200kg에 달합니다. <br> <br>한 번에 100개 정도의 알을 낳지만 이 중 살아남는 새끼는 한 두 마리에 불과할 정도로 생존률이 낮습니다. <br> <br>지구온난화로 바다가 따뜻해지면서 우리나라로 서식 범위를 넓히고 있지만, 플라스틱 등 해양 쓰레기에 의해 사체로 발견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병엽 / 제주대 해양과학대 교수] <br>"활동 범위가 넓다 보니 어업에서 버려지는 폐그물이라든가 해양 쓰레기에서 피해를 입기 때문에 서식지를 어떻게 우리가 보존 관리할 건가…" <br> <br>푸른바다거북이 국내에서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는 분포 현황을 파악하며 개체 보전을 위한 조사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오성규<br /><br /><br />황규락 기자 rocku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