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국이나 북유럽국가처럼 단계적 일상회복, 이른바 '위드 코로나'에 일찌감치 나선 국가들이 뚜렷한 경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도 소상공인과 취약계층 중심으로 코로나19 피해가 집중되고 있어서 시급히 방역체계 전환에 나설 때라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영국은 지난 7월 접종 완료율 50%대에서 선제적으로 강제적 방역조치를 모두 풀었습니다. <br /> <br />완전한 일상생활 복귀에 힘입어 영국은 지난해 10% 역성장에서 벗어나 올해 6∼7%의 높은 성장률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[보리스 존슨 / 영국 총리(지난 5일) : 백신 공급 덕분에 우리는 가장 개방적인 경제 체제를 둬 G7 국가 가운데 가장 빠른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유럽에서는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들이 감염 확산을 감수하면서 봉쇄 해제에 과감히 앞장서 경제회복 속도가 가장 빠른 편입니다. <br /> <br />노르웨이와 스웨덴, 덴마크 3개 나라는 경제 성장률이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수준에 이를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는 활동 제약이 크지 않은 방역을 지속해 경제 회복세가 뚜렷한 편에 속합니다. <br /> <br />[장영욱 /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: 사람들이 움직일 때 백신 접종을 했으니까 조금 더 안전하다고 느끼고 더 많이 활동을 한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. 워낙 그동안 못했기 때문에 그게 '보복소비'라고 해서 다시 소비 심리가 폭발한 측면도 있는 것 같고요.] <br /> <br />독일 등 서유럽 국가들은 봉쇄조치를 완화하지 않고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데 주력해 아직 성장 속도가 빠른 편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싱가포르의 경우 감염 확산을 견디지 못하고 고강도 방역으로 다시 돌아서 경제회복이 더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는 국민의 70%가 접종을 완료하고 2주가 지나는 다음 달 둘째 주쯤 단계적 일상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권덕철 / 보건복지부 장관(지난 6일) : 확진자 수보다는 중증 환자를 잘 보호하고 사망에 이르지 않게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장기간의 집합금지 등 영향으로 자영업자와 취약계층에 경제적 피해가 집중됐고, 의료진의 인력 고갈도 극심해 더 늦기 전에 방역체계를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광엽입니다.<br /><br />YTN 이광엽 (kyup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00905201192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