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회용기 대신 다회용기로 배달…안착까지 과제 산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 장기화로 음식 배달·포장이 늘면서 최근 지자체마다 배달음식을 담을 때 다회용기를 쓰는 시범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회용 쓰레기를 줄이는 측면에선 분명 긍정적이지만 활성화를 위해선 풀어갈 과제들도 적지 않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식당에서 만두 포장 주문을 해봤습니다.<br /><br />잘 쪄진 만두가 스테인리스로 된 용기에 포장돼 나옵니다.<br /><br />집이나 사무실에서 먹고 난 뒤 용기를 내놓으면, 수거업체가 회수해 세척 작업을 거쳐 재사용됩니다.<br /><br />서울시가 민간 배달플랫폼 등과 손잡고 이처럼 일회용기 대신 다회용기로 배달하는 시범사업을 벌입니다.<br /><br />소비자는 배달 애플리케이션에서 '다회용기'로 주문할지를 결정하고, 수거 등에 필요한 약간의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면 됩니다.<br /><br /> "일회용 배달 용기가 많은 문제가 있다고 시민들이 인식하고 계십니다. 시민의 다양한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시장점유율이 높은 민간 배달앱과…"<br /><br />경기도는 7월 중순부터 공공앱을 통해 다회용기 시범사업을 진행 중인데, 호응 속에 연말까지 참여 식당을 100곳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시범사업이 이어지는 데는 배달 포장으로 인해 폭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 영향이 큽니다.<br /><br />친환경 소비문화를 만들어나가기 위한 움직임이지만 안착을 위한 과제는 남아 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장에선 일부 비용부담을 하면서 가치 소비를 하려는 소비자들의 참여만큼이나 식당들의 참여도를 높이는 게 관건이라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식당들에 대한 지원들과 유인책들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. 사실 쉬운 결정을 해주신 건 아니거든요. 주방의 동선도 바꿔야 하고…다회용기가 일회용기보단 불편하고 품이 많이 드는 일이기 때문에 식당들의 참여율이 높아져야지 만이 잘 정착될 수 있고…"<br /><br />더불어 다회용기 회수 등에 필요한 네트워크를 촘촘히 갖추는 식으로 관리비용을 줄여 경제성을 높이는 일도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