환율 1,200원 육박…정유·항공산업 시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·달러 환율이 1년 3개월여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며 1,200원 선에 다가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럴 때 가장 부담이 큰 게 정유와 항공산업인데요.<br /><br />정유업계는 사정이 다소 낫다지만 코로나 사태 속에 겨우 버티는 항공업계로서는 시름이 더 깊어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소재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연초만 해도 달러당 1,080원대던 원·달러 환율은 불과 10개월 만에 1,190원을 돌파했습니다.<br /><br />1년 3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겁니다.<br /><br />환율이 오르면서 산업계로 불똥이 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장 트레블버블 협정국이 늘고 여행상품이 조금씩 팔리기 시작하며 2년 만에 회복세를 보이는 듯했던 항공업계엔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달러 가치가 뛰면 달러로 결제되는 항공유값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외화 결제 비중과 유류비 비중이 큰 사업으로 환율과 유가 변동이 영업성과와 현금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 파생상품 등을 이용해 헷징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유가 상승으로 실적 상승 기대감에 부푼 정유업계도 환율 상승세는 반갑지 않은 소식입니다.<br /><br />현재, 정유업계는 원유와 석유제품 간 가격차, 정제마진이 2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예상치 못했던 환율 상승 탓에 원유 매입 부담이 커져 수익성이 악화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 "환율이 오르게 되면 우리나라는 원유를 대부분 도입해야 되기 때문에 도입단가가 올라가게 되고요. 휘발유, 경유 가격도 올라가게 되고 국내에서 수요가 줄 수 있어서…"<br /><br />미국의 조기 금리 인상 전망 등으로 환율이 1,200원을 넘을 수 있다는 예측까지 나오면서 항공·정유업계의 시름은 깊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