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기 탓 기준금리 일단 동결…"11월 인상 논의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가계부채 급증 탓에 초유의 관심사였던 기준금리기 일단 연 현 0.75%에서 동결됐습니다.<br /><br />주춤해진 경기 회복세와 해외발 불안 요인을 고려한 건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이주열 한은 총재는 다음 달 인상 여부 논의 방침과 긴축 기조 지속 계획을 분명히 했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연 0.75%인 기준금리를 일단 동결했습니다.<br /><br />사상 최저 연 0.5%까지 내렸던 것을 8월 한 차례 올린 뒤 연내 추가 인상 방침을 밝혔지만, 결정을 미룬 겁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4차 유행 장기화로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중국 헝다 그룹 파산 위기나 미국의 금융 긴축 영향으로 국내외 증시가 출렁이는 등의 불안 요인이 가시화한 탓이란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다음 달 있을 올해 마지막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 논의가 있을 것임을 분명히 했습니다.<br /><br /> "다음 회의에서 대내외 여건의 변화가 경제금융 전반에 미치는 영향, 그리고 금융불균형 상황을 짚어본 후에 추가 인상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습니다."<br /><br />그러면서 내년에도 우리 경제 회복세가 견조할 것이란 언급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금리를 올려 가계부채 급증과 자산시장 과열 같은 금융 불균형 바로 잡기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내비친 겁니다.<br /><br />오름폭이 커지고 있는 물가도 인상 필요 요인으로 꼽았습니다.<br /><br /> "물가 오름세는 예상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입니다. 앞으로 통화정책은 경제 상황의 개선 정도에 맞춰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하는 방향으로 계속 운영돼야 할 것으로…"<br /><br />다만, 한은은 올해 4%로 예상되는 경제 성장률이 잠재 수준보다 높다는 점을 거론하며 저성장 속에 물가만 뛰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