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로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뿌리는 형태의 탈취, 살균제 사용하는 분들 많을 텐데요. <br /> <br />일부 제품의 경우 살균력이 낮고, 코로나 바이러스 살균 효과가 있는 것처럼 과장 광고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계훈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분무기 형태의 탈취, 살균제는 공기 중에 쉽게 뿌리고 닦을 수 있어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코로나19로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정용 살균제 사용도 빈번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원이 온라인에서 판매 중인 20개 제품을 골라 살균력을 시험해 봤더니, '편백수'로 만든 8개 제품이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살균력이 낮게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락스보다 살균력이 강하다고 알려진 차아염소산수 9개 제품도, 기름이나 먼지 등 오염 물질이 있는 표면에서는 살균력이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이재갑 /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: 분사형 제품의 경우는 예전에 가습기 살균제 문제가 발생한 다음이어서 그 안에 있는 소독제 성분을 향균력이나 살균력이 높은 거를 잘 쓸 수가 없거든요. 대부분이 '흡입독성' 문제가 해결이 안 돼서요.] <br /> <br />과장 광고도 문제였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제품은 코로나 바이러스 살균 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했고, 환경부에 '탈취제'로 신고한 제품인데 '살균'이나 '향균' 표기를 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홍준배 / 소비자원 시험검사국 식품미생물팀 팀장 : 코로나19 바이러스 살균이라고 광고한 제품을 구입하실 때는 코로나19 시험성적서 등 시험 살균 근거가 있는지 제품 및 인터넷 표시 광고를 확인하고 구입하셔야 겠습니다.] <br /> <br />또 2개 제품은 생활화학제품에 사용하면 안되는 '무독성','환경친화적'이란 광고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원은 과장·거짓 광고를 한 업체에 개선을 권고하고, 환경부에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관리 감독을 요청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YTN 계훈희입니다.<br /><br />YTN 계훈희 (khh021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01317233952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