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는 양부모의 학대로 고통을 받다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16개월 정인이의 1주기였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아동학대를 막는 '공공보호체계'를 구축하겠다고 한 지도 1년이 됐는데요. <br> <br>또 다른 정인이 사건을 막을 수 있도록 제대로 가동되고 있는지 장하얀 기자가 점검해 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구청 아동학대 대응팀 직원들이 새로 접수된 신고에 대해 의견을 나눕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어린이집 선생이 아동을 신체적으로 학대한 사건입니다." <br> <br>구청에 매일 새로 들어오는 아동학대 신고 사례만 대여섯 건. <br> <br>전담 직원이 학대 의심 장소로 출동해 조사를 진행합니다. <br> <br>[우진혁 / 서울 노원구청 아동보호 전담 직원] <br>"경찰 통보된 사건 중에서 일정이 잡히면 하루 2, 3건씩 나가기도 하고 (저녁) 6시 이후 나가기도 하고 주말에 나가기도 하는데요." <br> <br>조사 결과는 정리해 아동보호전문기관과 공유합니다. <br> <br>지난해 10월 보건복지부가 각 시군구에 전담인력을 배치해 공공보호 체계를 구축한다고 발표하면서 생긴 변화입니다. <br> <br>기존에는 경찰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조사와 관리를 담당했지만, 지방자치단체가 조사를 진행하면서 정부의 공적 책임을 강화한 겁니다.<br> <br>시행 1년이 지났지만 현장은 인력 부족에 허덕입니다. <br><br>복지부는 아동 학대신고 50건 당 전담 공무원 1명씩 배정하라고 권고했지만, 올 들어 9월까지 서울시 자치구 전담 공무원 1명이 맡은 학대신고 아동 수는 평균 61명 수준. <br><br>김포, 수원, 제주처럼 아예 전담 인력이 없는 곳도 있습니다. <br> <br>아동학대 예방은 기피 업무가 돼 버렸습니다. <br> <br>[○○구청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] <br>"주말 없이 언제든 콜하면 바로 나와야 하고. 업무 난이도도 높고 반발도 심하고. 직원들이 싫어하죠." <br><br>복지부는 "연말까지 인력을 추가 배치하겠다"는 입장. <br><br>내실 없는 공공보호 청사진 만으론 제2, 제3의 정인이가 나오는 걸 막을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임채언 강철규 <br>영상편집: 김미현<br /><br /><br />장하얀 기자 jwhit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