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정상 첫 통화…"강제징용, 협정해석 차이…해법 모색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첫 정상통화를 했습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은 강제징용 문제는 한일 청구권 협정의 해석에 차이가 있다며 "양국 간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성승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일 정상간 첫 통화는 지난 4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취임한지 11일만에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지난 6월 주요 7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당시 총리가 잠시 인사한지 약 4개월 만의 한일 정상 소통입니다.<br /><br />30분간 이뤄진 통화에서 기사다 총리의 취임을 축하한 문 대통령은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를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은 강제징용 문제는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 적용 범위에 대한 법적 해석에 차이가 있다며 외교적 해법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는 피해자 분들이 납득하면서도 외교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기시다 총리는 일본의 입장을 설명하고 외교당국 간 소통과 협의 가속화를 독려하겠다고 말했다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기시다 총리는 자국 언론에 강제징용과 위안부 소송에 있어 한국 측의 적절한 대응을 요구했다고 말해 차이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두 정상은 북한 문제를 놓고도 대화를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은 대북 대화와 외교의 조속한 재개를 강조하며 김정은 위원장과 조건 없는 대화를 언급한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기시다 총리는 북미대화가 조기에 재개되기를 기대한다며 유엔 안보리 결의의 완전한 이행과 지역의 억지력 강화를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은 일본은 가장 가까운 이웃이자 협력해야 할 동반자라며 코로나와 기후변화 대응 등에 있어 협력을 공고히 하자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기시다 총리는 "한일 양국을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발전시키자는 문 대통령 말씀에 공감한다"고 화답했습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은 직접 만나길 기대한다고 했지만 기시다 총리는 양국 정상의 소통이 중요하다고만 해 정상회담을 약속하진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성승환입니다. (ssh82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