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사회부 이은후 기자와 더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<br>남욱 변호사가 다음주 초 입국해서 검찰 조사를 받잖아요.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할까요? <br><br>남욱 변호사는 앞서 자신은 개발업자일뿐이고 사업설계에 깊이 관여 안 해서 의혹에 대해 잘 모른다는 취지로 언론 인터뷰를 했죠. <br> <br>그런데 이 말,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지적이 있는데요. <br> <br>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남욱 변호사는 지난 2014년 4월 30일 대장동 원주민들과 설명회를 가졌는데요. <br> <br>여기서 황무성 당시 성남도시개발공사 사장이 임기를 못 채우고, 그 자리에 유동규 전 본부장이 갈 수 있다는 의미심장한 발언을 합니다. <br><br>[남욱 / 변호사] <br>"(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이) 재선되면 (유동규 전 본부장이) 공사 사장 이야기가 있다고 저는 그렇게 들었는데. 요새 민감한 시기라 저희는 안 만나거든요." <br> <br>[대장동 원주민] <br>"황무성(당시 사장)이 저기 그러면 또 낙동강 오리 아니야?" <br> <br>[남욱 / 변호사] <br>"공사 사장 자리는 어쩔 수 없어요." <br> <br>[대장동 원주민] <br>"그 사람(황무성 당시 사장)은 임기 없나요? 지금 새로운 사장 있잖아요 거기" <br> <br>[남욱 변호사] <br>"임기는 있는데. 사임하면 뭐" <br><br>우연의 일치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일들이 일어납니다. <br> <br>실제로 황무성 전 사장은 임기를 다 못 채우고 대장동 사업이 본격화되기 직전 사임했고요. <br> <br>사장 직무대리가 된 유 전 본부장은 대장동 사업의 각종 인허가를 결재합니다. <br><br>남욱 변호사는 본인 말대로 일개 민간 사업자일뿐인데 성남시 산하 공공기관장의 인사까지 거론했고, 말 그대로 실행된 겁니다. <br> <br>[질문1-1] <br>당사자인 황무성 전 사장은 어떤 입장인지 궁금하네요.<br><br>황 전 사장은 앞서 채널A에 당시 사임했던 이유를 털어놓은 적이 있는데요. <br><br>"성남도시개발공사는 대기업과 달리 제약이 많았다"며 "인사를 유동규 전 본부장이 다 했다"고 했습니다. <br><br>직책은 사장이지만 유 전 본부장이 실권을 쥐고 있어 뭘 하려고 해도 편하지가 않았다는 거죠. <br> <br>검찰은 유동규 전 본부장이 이른바 '대장동팀'이 사업 초기부터 이해관계를 같이 했다고 의심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이 석연찮은 인사에 이들의 영향력이 작용한 것은 아니었는지도 검찰이 확인할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[질문2] <br>이재명 후보가 대장동 사업과 관련해 최소 10차례 결재를 한 것을 두고 정치권 공방도 계속되고 있죠? <br><br>간단히 말하면 야당은 "결재를 이렇게 많이 했으니 이재명 후보, 그러니까 당시 성남시장도 비리에 깊이 연루됐을 가능성이 높다"고 주장하고요. <br> <br>이재명 후보 측은 "행정 절차에 따라 결재한 것이 무슨 문제냐"고 반박하고 있죠. <br> <br>검찰의 시각은 좀 다릅니다. <br> <br>결재 횟수 보다는 화천대유 측에 과도한 이익을 몰아준 설계에 대해 이 후보가 알고 있었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피는 겁니다. <br> <br>지난 2015년 2월, 화천대유 측이 민간사업자로 선정되기 직전인데요. <br><br>이 후보는 "민간 이익이 지나치게 우선시되지 않게 한다"는 내용이 포함된 문건에 결재를 합니다. <br> <br>그런데 3개월 뒤 맺은 대장동 개발 사업협약서에서는 민간 초과이익 환수조항이 삭제됐는데요. <br><br>관건은 이런 삭제 과정을 이재명 후보가 보고 받고 알고 있었는지 여부입니다. <br> <br>[질문3] <br>그런 내용이 담긴 보고 문건이나 휴대전화 메시지 등이 있는지 검찰이 확인하면 되는 것 아닌가요? <br><br>당시 대장동 사업 관련 결재 라인부터 확인해볼 필요가 있는데요. <br> <br>결재라인의 마지막에는 당연히 이재명 당시 시장이 있었고요, 협조라인에는 이 후보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정책실장, 비서실장이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들이 근무했던 시장실과 비서실, 모두 어제 검찰 압수수색 범위에서 빠졌습니다. <br><br>유동규 전 본부장의 휴대전화에도 관련 증거가 있을 수 있는데요. <br> <br>검찰이 초기 확보에 실패하면서 증거를 복원할 수 있는지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. <br> <br>잘 들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