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요즘 차 기름 넣은 분들은 깜짝 놀라셨을 겁니다.<br><br>휘발유 값이 1700원을 돌파했습니다.<br> <br>가스값도 폭등해서요.<br> <br>겨울철 고지서에 찍힐 요금도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주유소를 찾는 운전자들은 하루가 멀다고 오르는 유가가 달가울 리 없습니다. <br> <br>[정명화 / 서울 서초구] <br>"코로나19로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니까 이때 유가가 오르는 건 충격을 몸으로 다 흡수하는 느낌이 듭니다." <br> <br>[이경태 / 서울 중구] <br>"너무 많이 올랐죠. (작년엔) 낮아질 수 있단 얘기 나왔는데 더 오르는 것 같아요. 조금이라도 싼 데를 찾게 되더라고요." <br><br>"전국의 평균 휘발유 가는 리터당 1700원을 넘어섰습니다. 7년 만에 최고치입니다." <br> <br>서울 용산구와 중구에서는 이미 리터당 2천 원을 넘었습니다. <br> <br>1년 만에 2배 오른 원유가가 원인인데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><br>[조상범 / 대한석유협회 팀장] <br>"위드 코로나 정책 등으로 세계 석유 수요 증가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만, 공급 면의 증가는 따르지 못할 것으로 봅니다." <br> <br>코로나19로 쪼그라든 생산이 단기간에 늘어나긴 어렵다는 겁니다. <br><br>화석연료 대체재이자 난방용으로 주로 쓰이는 LNG 가격의 상승세는 더 가파릅니다. <br> <br>1년 만에 5배 넘게 오른 상황. <br><br>정부가 도시가스 가격 동결로 상승을 억제하고 있지만, 부메랑이 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[온기운 /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억제하면 할수록 공기업 수익성이 악화하거나 인상요인이 누적돼서 소비자에게 더 큰 인상압박을 가하거나 둘 중에 하나죠." <br> <br>산업부도 인상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[채희봉 / 한국가스공사 사장(지난 15일)] <br>"적절한 규모의 조정, 인상은 필요하다 생각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는 겨울이 다가오고 있어 가계에 불어닥칠 찬바람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: 이락균 <br>영상편집: 이희정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