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냉장고에 둔 지 얼마 안 된 과일 야채가 쉬 물러 버렸다면 ‘사과’가 함께 있는지 보셔야 합니다.<br> <br>왜 그런지 서상희 기자가 알려드립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잘 익은 사과를 <br>고르는 손길이 분주합니다. <br> <br>아삭하고 새콤달콤한 사과가 <br>제철을 맞았습니다. <br> <br>[김유경·안서현 / 서울 동작구] <br>"사과가 아침에 먹는 게 좋다고 해서 아침에 식사하고 같이 먹고 있어요." <br><br>"마트에서 산 사과를 이렇게 다른 과일이나 채소와 함께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도 있는데요. <br> <br>유의할 점 있습니다." <br> <br>사과는 과일의 숙성을 촉진하는 호르몬 '에틸렌'이 많이 발생합니다. <br><br>에틸렌은 과일이 익으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데 수확 후에도 기체 상태로 배출돼 채소와 다른 과일을 무르게 만듭니다. <br><br>특히 엽록소 등을 분해해 사과와 시금치와 같이 보관하면 잎이 누렇게 변할 수 있고, 양상추의 반점을 만들고 당근은 쓴맛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에틸렌에 민감한 키위나 배 등은 쉽게 부패합니다. <br><br>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사과는 되도록 다른 과일 또는 채소와 따로 보관하고, 공기를 차단하는 식품용 랩으로 개별 포장해 저온 보관하는 게 좋다고 설명합니다.<br> <br>수확 후 에틸렌이 많이 나오는 과일은 사과 외에도 토마토, 자두, 아보카도 등입니다. <br> <br>다만 에틸렌은 덜 익은 과일을 숙성시키는 효과도 있는데 <br><br>덜 익은 바나나나 떫은 감을 사과와 함께 보관하면 후숙에 도움됩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김명철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