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에선 평균 휘발윳값 1ℓ에 1,800원 돌파 <br />유가 상승으로 국내 소비자 물가 연쇄 상승 우려 <br />유류세 인하 목소리 커져…정부 "검토한 적 없어"<br /><br /> <br />서울의 평균 휘발윳값이 1ℓ에 1,800원의 벽마저 허물었습니다. <br /> <br />끝없이 오르는 국제 유가에 직격탄을 맞은 건데요. <br /> <br />안 그래도 치솟는 물가를 자극할 거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요즘 주유소를 찾는 손님들은 리터당 휘발윳값에 한 번 놀라고 기름을 가득 넣은 뒤 나오는 영수증 금액에 다시 한 번 놀랍니다. <br /> <br />올해 초만 해도 리터당 천4백 원대였던 걸 생각하면 어안이 벙벙한 가격입니다. <br /> <br />[최중력 / 서울 아현동 : 운전을 4년간 했는데 2천 원, 3천 원씩 천원 단위로 계속 올라가는 게 거의 처음인 것 같습니다. 부담이 되죠.] <br /> <br />실제 전국 휘발유 가격은 연일 치솟아 현재는 1ℓ에 1,720원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1,700원을 넘어선 건 7년 만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에선 1,800원을 돌파했습니다. <br /> <br />2,000원을 넘는 주유소를 찾는 것도 어렵지 않을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국내 기름값이 오르는 주된 이유는 선행지표인 국제 유가가 급등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이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 평균 가격은 지난 15일 기준 배럴당 82.99달러로 3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원유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특성을 고려하면 물가에 비상이 걸린 셈입니다. <br /> <br />상승하는 수입 물가는 결국 시차를 두고 국내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올해 초만 해도 1%대 전후로 낮은 편이었지만, 최근에는 2%대가 일상화됐고, <br /> <br />이번 달에는 아예 3%를 넘어설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유통업계는 제조원가 압박에 못 이겨 벌써 일부 제품의 가격을 올리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: (소비자 물가 상승률이) 3%까지 올라갈 수 있는 상황이고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지수는 현재 나와 있는 소비자 물가 지수 상승률보다 더욱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따라 유류세를 인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정부는 일단 구체적 방안을 검토한 적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유류세를 낮추면 물가를 잡는 데 도움이 되긴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국제유가 상승기에 큰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고, 탄소 중립 정책에 반하는 조치이기도 한 만큼 정부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01818274942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