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내일 마지막이기도 한,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올 두 번째 경기도 국정감사가 열립니다. <br> <br>결국, 대장동 특혜 의혹에 이재명 후보가 책임이 있냐, 없냐가 관건이죠. <br> <br>어제 국정감사장에서 이 후보의 이 발언이 묘한 파장을 낳고 있습니다. <br> <br>“초과 이익 환수 조항을 추가하자고 했던 직원의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” <br> <br>야권에서는 이 발언이 배임의 증거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박건영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대장동 개발과 관련한 배임 논란의 핵심은 민간 사업자가 수천억 원대 이익을 챙겨 성남시가 손해를 본 게 누구 책임이냐는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어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초과이익 환수조항이 필요하다는 실무진의 건의가 있었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(어제)] <br>"초과이익 환수 조항을 삭제한 게 아니고 추가하자고 하는 일선 직원의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, 이게 팩트 입니다." <br><br>이 발언을 놓고 국민의힘 대장동 게이트 진상규명 태스크포스는 "환수 조항이 빠진 사업설계안을 확정한 혐의를 스스로 인정한 것"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><br>법조계 안팎에선 "초과이익에 대한 대비가 없었던 것도 배임으로 다툴 여지가 있다"는 주장이 나옵니다.<br> <br>일각에선 대장동 개발 사업자 공모과정에서 초과이익 환수 조항이 빠졌더라도, 이후 계약 조건을 조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는지 <br>조사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<br>"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된 이후에라도 초과 이익에 대비하지 않은 건 문제의 소지가 있다"는 겁니다. <br><br>시민단체 경실련은 자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장동의 개발 이익 1조 8천억 원 중 성남시가 환수한 건 10%에 불과하다며, <br> <br>특검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박건영 기자 chang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