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흑인 최초 미국 합참의장과 국무장관을 지낸 콜린 파월이 코로나 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. <br> <br>속전속결로 걸프전쟁을 승리로 이끌었고 한반도 문제에도 깊숙이 관여했던 인물이죠. <br><br>워싱턴 유승진 특파원이 그의 삶을 되돌아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미국 흑인 역사를 새로 썼던 콜린 파월이 84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. <br> <br> 골수종과 파킨슨병에 이어 코로나 돌파 감염과 투병했습니다. <br> <br> 뉴욕 할렘의 자메이카 이민 가정에서 태어나 군인이 된 그는 아버지 부시 행정부 시절 흑인 최초이자 최연소 합참의장 자리에 올랐습니다. <br> <br> 걸프전 당시 개입이 불가피하면 압도적 군사력으로 속전속결한다는 '파월 독트린'을 내세워 명성을 떨쳤습니다. <br> <br> 하지만 후세인이 숨겨놓았다는 대량살상무기는 발견 못 해 오점으로 남았습니다. <br> <br> 아들 부시 행정부에서는 첫 흑인 국무장관을 역임했습니다. <br> <br>[콜린 파월 / 전 미 국무장관 (지난 2014년)] <br>"국무장관 첫날 사무실에 앉아 있는데 직원 한 명이 들어와 문을 닫고 말하더군요. 당신을 뭐라고 불러야 합니까? 장군일까요? 장관일까요?" <br> <br> 오바마에 앞서 최초 흑인 대통령 후보로 거론됐고 이후 초당적 행보로 리더십도 보여줬습니다. <br> <br> 주한미군 근무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그는 김대중, 노무현 정권 때 한반도 문제에도 깊숙이 관여했습니다. <br><br>"파월 전 국무장관의 별세 소식이 전해지면서 백악관도 이렇게 조기를 걸고 애도를 표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그는 친애하는 친구이자 애국자일 뿐만 아니라 우리의 위대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입니다." <br><br> 투병기를 전한 마지막 인터뷰에서도 그는 꼿꼿한 군인 자세를 잃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콜린 파월 / 전 미 국무장관 (지난 7월)] <br>"저를 안 됐다고 여기지 마세요. 두 병과 싸우면서 전 하루도 인생을 헛되게 보내지 않았습니다."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유승진 워싱턴 특파원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