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세계는 소형원전 전쟁…한국, 최초 개발하고도 ‘제자리’

2021-10-19 29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전 세계가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며, 에너지 부족 현상이 심각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미국과 유럽, 일본 등은 기존 원전보다 안전하다며 소형 원전 개발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는데, 가장 먼저 개발에 나섰던 우리 나라는 제자리 걸음입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선진국이 가장 주목하는 에너지는 단연 차세대 원전으로 불리는 소형모듈원자로, SMR입니다. <br><br>대형 원자력 발전소의 100분의 1 크기에 불과해 부지가 넓지 않아도 건설이 가능하고 모든 기기가 한 용기에 담겨 관리가 편하고 안전성도 높다는 평가를 받습니다. <br><br>프랑스 정부가 최근 SMR에 10억 유로, 우리 돈 1조3800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미국은 SMR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차지하고 본격적인 수주 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.<br><br>국제원자력기구는 205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최대 1000기의 SMR이 건설되고, 시장규모는 400조 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까지 내놨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소형원자로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2012년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했던 우리나라는 현재 핵심 기술 개발보다는 설비 공급 등에 머물러 있습니다. <br> <br>[정용훈/카이스트 원자력·양자공학과 교수] <br>"개발 인허가도 제일 빨랐고 한때 선두는 우리였는데, 지금의 선두는 (미국) 뉴스케일이 돼버렸죠." <br> <br>SMR이 '게임체인저'로 떠오르자 이제야 기술개발에 나서는 모양새지만 <br><br>정부가 탈원전을 고수하는 상황에서는 성과를 얻기 쉽지 않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> <br>[정용훈/카이스트 원자력·양자공학과 교수] <br>"종이에 그림만 그려 원자로 만들 건 아니잖아요. 실제 만들어야 하는데 산업기반이 탈원전 때문에 무너져 가고 있거든요." <br> <br>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재고하지 않으면 우리의 탄소중립 계획도 공염불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<br><br>영상편집: 최창규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