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는 30여 년 전 초소형 위성 '우리별'을 시작으로 뒤늦게 우주개발에 뛰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우주 선진국의 절반에 불과한 기간에 위성과 발사체 분야에서 세계 10대 강국의 위치에 올라섰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의 우주 개발 역사를 기정훈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나라가 인공위성을 처음 쏜 것은 1992년입니다. <br /> <br />영국의 도움을 받아 만든 우리별 1호를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발사하며 한국은 세계 22번째 인공위성 보유국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실용위성 시대를 연 것은 아리랑으로 불리는 다목적 실용 위성. <br /> <br />1999년 미국에서 발사된 아리랑 1호가 6.6m급 흑백사진을 찍는 수준이었지만, 2006년 발사된 2호는 1m급, 2012년의 3호는 0.7m급으로 발전하며 위성사진 수출국으로 도약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2008년 첫 우주인 이소연 씨가 임무를 완벽 수행하며, 우주인 배출국 명단에도 세계 36번째로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발사체 기술 발전은 상대적으로 더뎠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위성이 우주로 가려면 미국과 러시아 등 외국 로켓을 타야만 했습니다. <br /> <br />2002년에 시작된 발사체 개발 사업은 기술 이전 금지라는 악조건을 뚫고 1단 로켓을 러시아가, 2단을 우리가 맡은 나로호를 만들어냅니다. <br /> <br />2013년 1월 세 번째 도전에 성공하며 우주 자립에 다가섭니다. <br /> <br />나로호가 100kg급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켰다면 누리호는 1.5톤짜리 위성을 실어 나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문희장 / 한국항공대학교 교수, 한국추진공학과 회장 : 우주 탐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결국 우리도 우주 탐사에 참여할 수 있는 하나의 무기가 만들어졌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현재 1t이 넘는 실용 급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나라는 러시아와 미국, 유럽과 중국, 일본, 인도. <br /> <br />영국과 독일,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은 모두 유럽 우주국 ESA의 아리안 로켓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번 발사에 성공하면 우리는 독자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한 7개국 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됩니다. <br /> <br />1957년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이후 60여 년이 지나는 동안 우주 발사체 보유국 명단은 그리 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가 그 높은 문턱을 넘어설 수 있게 할 누리호의 카운트 다운이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기정훈입니다.<br /><br />YTN 기정훈 (prodi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1102000245298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