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미, 종전선언 문안 협의…"北미사일은 우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미가 종전선언 관련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대화 유도에 유용한 조치라는 데 공감하고 일부 문구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미일 북핵수석대표가 미국 워싱턴 DC에서 만나 북한의 SLBM 시험발사와 관련한 정보와 인식을 공유했습니다.<br /><br /> "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유지가 대단히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고 앞으로 상황을 계속 예의주시하면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조기 재가동을 위해서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유지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"<br /><br />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런 상황이 어려움을 주는 게 사실이지만 대화와 외교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큰 틀에 영향을 주진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백악관도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했지만 대화와 외교를 추구한다는 기존 입장엔 변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로 우리 정부가 적극 추진 중인 종전선언 논의는 속도를 내기 시작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정부 고위 당국자는 종전선언이 북한과 대화를 시작하기 위한 계기로서 상당히 유용하다는 데 한미 간 공감대가 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신뢰 구축 수단의 하나로 북한에 적대 의사가 없다는 것을 보여줄 좋은 조치가 될 수 있단 차원에서 접근 중이라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미국도 자체적으로 법률적인 부분을 포함해 성명 채택 시 미칠 영향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고, 한미 당국 간에 일정 정도의 문안 협의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정부도 종전선언에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한 대목입니다.<br /><br />한미의 대북 인도적 지원은 실무 협의가 거의 끝났지만 북한의 동의가 필요한 만큼 적절한 시점을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한미는 이번 주말에도 관련 협의를 이어갑니다.<br /><br />다만 모든 논의에는 여전히 대화제의에 응답하지 않고 무력 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북한의 상황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