결국 물러선 정부 "유류세 인하 다음주쯤 발표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름값이 하루가 다르게 치솟자 정부가 결국 유류세 인하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.<br /><br />당초 검토한 바 없다던 입장을 선회한 건데요.<br /><br />다음 주쯤 유류세 탄력세율 적용과 원유 할당관세 조정을 담은 대책이 나올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집값과 먹거리값 급등에 유가마저 심상치 않자 정부가 유류세 인하를 이르면 다음 주 내놓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유류세 인하를 정부가 짚어보고 있습니다. 유가가 이미 (배럴당) 80달러를 넘어선 상황이기 때문에 열흘 이내, 다음 주 내에는 조치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정부의 이 같은 방침 선회는 유가 급등이 소비자 물가를 3%대로 끌어올리는 것은 물론, 유류를 이용하는 각종 산업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서울의 평균 휘발윳값이 최근 리터당 1,800원 선을 돌파했는데,<br /><br />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국제 유가에 원화마저 약세라 추세대로면 리터당 2,000원을 넘을 것이란 전망까지 나옵니다.<br /><br />리터당 휘발유에 475원, 경유에 340원이 정액으로 붙는 교통에너지환경세는 법정세율 30% 범위에서 정부가 조정할 수 있는 탄력세율을 이용해 부담을 줄이고<br /><br />이미 할당관세 시행으로 0.5~2%의 관세가 적용 중인 액화 천연가스, 원유는 추가 인하가 검토됩니다.<br /><br /> "현재 워낙 국제 유가나 LNG 가격이 전 세계적으로 오르는 그린 인플레이션 상황이기 때문에 방치했다가는 우리나라 물가 관리에 어려움을 가질 수밖에 없다. 일정 정도 탄력세율을 조절해서 유류세를 인하하는 것은 필요한 상황이라고 봅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다만 구체적 인하 폭은 정해지지 않았다는 입장인데, 유류세를 내렸던 2018년엔 반년간 15%, 이후 넉 달은 7%를 인하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