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누리호, 위성 모사체 분리 성공…우주로 첫 걸음

2021-10-21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:30~19:00)<br>■ 방송일 : 2021년 10월 21일 (목요일) 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김경진 전 국회의원(윤석열 캠프 대외협력특보), 김관옥 계명대 교수, 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, 최병묵 정치평론가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곧바로 저희가 나로호 우주센터에서 들려온 이 소식부터 먼저 만나보겠습니다. 조금 전 5시에 발사된 세상이라는 뜻의 순우리말 바로 누리호입니다. 보신 것처럼 우주 기술이 드디어 가보지 않은 길을 걷게 됐습니다.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발사체 누리호가 조금 전 저렇게 5시에 정확히 발사됐는데요. 아직은 분리 단계이기 때문에. 일단 최종 발사 성공이 확인이 되면 우리나라는 1톤 이상 실용 위성을 순수의 힘으로 우주에 보낼 수 있는 세계 7번째 나라가 됩니다. <br><br>일단 현재 발사된 지 정확히 38분 40여 초가 지나고 있고요. 첫 우주 발사체 발사 성공. 잠시 뒤에 5시 50분쯤에 나로호 우주센터에서 최종 발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기로 했습니다. 선진국도 첫 발사 성공률이 30~40%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. 앞으로 이 귀추가 주목되는데요. 저희가 오늘 여기 계신 전문가분들과 함께 핵심 내용만 몇 가지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일단 16분 뒤에 궤도 진입 확인이 됐고. 5시에 발사가 됐는데. 발사 16분 7초 뒤 위성 분리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. 먼저 이도운 위원님. 이 첫 발사 의미. 어떻게 저희가 받아들이면 되겠습니까. <br><br>[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] <br>일단은 지금 1~4단 추진체 다 분리가 되고. 이번엔 진짜 위성이 아니라 모의 위성을 올리는 건데. 위성도 지금 분리해서 아마 궤도에 올린 거 같으니까 거의 성공을 하는 걸로 볼 수가 있죠. 굉장히 감격적인 순간입니다. 순수하게 우리 기술로 우주 발사체를 쏘아 올려서 성공한 게 7번 째 국가니까 우리가 진짜 선진국에 들어가게 됐다는 하나의 징표가 되는 겁니다. <br><br>최근 보면 테슬라가 만든 스페이스X. 그다음에 아마존, 그다음 영국의 버진. 이런 데서 아예 우주여행을 할 정도로 지금 우주 개발 경쟁이 치열하지 않습니까. 미국, 영국뿐만 아니라 중국, 일본, 인도, 러시아, 최선진국들이 경쟁하고 있는데. 우리가 그 대열에 들어갔다는 거고. 단순히 인공위성 기술. 과학 기술 차원을 넘어서 뭘 의미하냐면 우리는 이미 인공위성 기술을 상당한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해 있습니다. <br><br>그래서 언제든지 우리가 마음만 먹으면 우리가 발사체를 쏴서 인공위성을 올릴 수가 있어요. 그러면 기상, 농업, 미디어, 인터넷. 모든 면에서 정말 다양한 부가 가치를 만들 수 있고. 특히 우리가 앞서가고 있는 한류 콘텐츠와도 결합해서 수많은 부가 가치 있는 사업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또 조금은 조심스러울 수도 있지만. 군사적인 면에서도 생각해 봐야 되는데. 우리가 이렇게 우주 발사체를 실험하기 시작한 게 1998년이에요. 그때 무슨 일이 있었냐면 북한이 대포동 미사일. 초기 ICBM을 발사합니다. 그러면 우리는 뭐냐, 훨씬 기술이 앞선. 그래서 우리도 김대중 정부에서부터 우주 발사체 연구를 시작하고 그게 노무현, 이명박, 박근혜 정부를 거치면서. 어렵지만 이어온 것이고. <br><br>우주발사체라는 게 거기에다가 인공위성을 달면 우주 발사체가 되는 거고. 거기에 폭탄 탄두를 달면 ICBM이 되는 거니까. 그런 안보적인 측면에서도 의미 있다고 생각할 수 있고. 그러나 이런 모든 것보다 가장 중요한 건 뭐라고 생각하냐면. 지금까지 우리 전체가 비전이 없었어요. 그냥 과거에 발목 잡힌 정치 때문에 한 걸음도 우리가 못 나가는 거 같았는데. 그래도 이렇게 우주를 향해서 미래를 향해서 날아가는 저 발사체를 보면서. 우리 다음 세대에게 더 큰 세상, 더 큰 미래를 보여준 거 같아서. 굉장히 가장 의미가 깊다고 봅니다. 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정우식 인턴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