누리호 '미완의 도전'…내년 5월 위성 싣고 재발사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 기술로 만든 첫 우주발사체 누리호, 아쉽게도 모든 과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진 못했지만, 이게 끝은 아닙니다.<br /><br />내년 5월 2차 발사를 비롯해 우주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다양한 도전이 기다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2년 가까운 개발 기간 동안 투입된 예산 약 2조 원.<br /><br />누리호의 심장인 75톤급 주 엔진의 성능 입증을 위해 184회에 걸쳐 이뤄진 1만 8,290초의 연소시험.<br /><br />시행착오를 거쳐 가며 순수한 우리 기술로 탄생한 우주발사체 누리호,<br /><br />발사체 개발 기술은 국가 간 기술이전이 불가능한 분야이기에 이번 발사체 개발 과정의 의미는 더욱 큽니다.<br /><br />비록 위성 안착에는 실패했지만, 이번 도전은 향후 우주 산업 확장을 향한 징검다리가 됐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 "기술적 진보는 엄청나게 성숙했고, 무엇이 잘못됐는지 찾아 보완하면서 또 다른 기술적 도약을 이룰 수 있다면…"<br /><br />누리호의 도전은 이번이 끝이 아닙니다.<br /><br />내년 5월로 예정된 2차 발사에선, 모형 위성과 성능검증 위성을 싣고 또 한 번 하늘을 향해 날아오릅니다.<br /><br />이후 위성 발사체의 기술력을 고도화하기 위해 오는 2027년까지 다양한 위성을 싣고 4차례 더 발사하는 계획도 잡혀 있습니다.<br /><br /> "누리호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첫 번째, 이걸 통해서 기술을 민간에 이전시켜서 민간에 우주발사 전문기업을 육성하는 것이 두 번째 이유입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또 내년 8월 미국 스페이스X사 서비스를 이용해 달 궤도선을 발사하고, 미 항공우주국 NASA가 추진하는 유인 달 탐사 사업에 참여하는 등 우주개발 관련 기술을 축적해나갈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