민주, 김웅·정점식 징계안 제출…윤리특위는 '개점휴업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이 '고발사주' 의혹과 관련해 국민의힘 김웅, 정점식 의원에 대한 징계안을 제출했습니다.<br /><br />경선 국면에 접어들며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는데, 정작 징계안을 심사하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는 개점 휴업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이준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민의힘 김웅 의원과 고발사주 의혹 제보자 조성은씨와의 전화 녹취파일 공개 이후,<br /><br />민주당은 의혹의 당사자 김웅 의원과 고발장을 중간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 정점식 의원에 대한 징계안을 제출했습니다.<br /><br />국회의원 품위 손상, 의무 위반 등을 근거로 들었습니다.<br /><br /> "이후 신속하게 절차가 진행돼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고발사주 관련해 책임을 져야 하는 두 분 의원이 제대로 책임질 수 있도록 당 차원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…"<br /><br />민주당은 앞서 경기도 국정감사에서, 돈다발 사진을 내밀며 이재명 후보에 대한 '조폭 연루설'을 주장했던 국민의힘 김용판 의원,<br /><br />아들이 화천대유자산관리로부터 퇴직금 50억 원을 받아 논란이 된 곽상도 의원 등에 대해서도 징계안을 제출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대선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야당을 향한 대응 수위가 한층 높아진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징계안을 심사하는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는 개점 휴업 상태입니다.<br /><br />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, 국민의힘 조수진 의원 등 21대 국회 들어 국회의원 징계안은 모두 18건 접수됐지만, 특위는 한 번도 열리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박병석 국회의장이 김진표 위원장에게 지난 6월과 9월, 두 차례 서한을 보내며 특위 가동을 촉구했지만, 여태 별다른 움직임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박 의장은 해당 서한에서, 공정과 윤리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높아졌다며 국회의 자율적인 윤리 심사 기능이 정상 작동하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헌정사상 국회의원이 제명된 사례는 윤리특위가 구성되기 이전인 1979년 김영삼 신민당 총재가 유일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준흠입니다. (hum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