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집값이 주춤하는 추세입니다. <br> <br>아직 하락한다고까지 볼 순 없지만, 상승세는 꺾인 통계가 나오고 있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강남과 소형 아파트는 아랑곳하지 않고 연일 신고가 행진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 부동산 상황을 안건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정부는 하반기 내내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 <br>[홍남기 / 경제부총리 (지난 6월)] <br>"고점에 근접했다." <br> <br>과연 그럴까. <br><br>이번 주 수도권과 서울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둔화 내지는 보합. <br> <br>하지만 강남 3구는 아랑곳하지 않고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.<br><br>소형 아파트 오름세도 무섭습니다. <br> <br>9월 서울 아파트 중에서 가장 많이 상승한 평형은 전용면적 60제곱미터 이하.<br><br>거래절벽 속에서도 '강남'과 '소형'이 시장을 지지하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최근 신고가를 찍은 강남구의 한 아파트 단지.<br> <br>학군 수요가 강하다 보니 드문드문 나오는 매물을 낚으려는 현금부자들이 꼭 있습니다. <br> <br>[강남구 공인중개사무소] <br>"(전세 낀) 갭으로 살 사람들은 여전해서 5~6억 원 붙어서 나왔대도 고민하다 살 사람은 사요." <br><br>"이 아파트 전용 115제곱미터가 이달 초 41억 원에 거래됐습니다. 석 달 만에 6억 원 넘게 오른 겁니다."<br> <br>여기에 소형 아파트도 올해 들어서만 1억 원 넘게 오르며 신고가 행렬에 동참하는 상황. <br> <br>현금부자는 똘똘한 한 채, 대출금에 등골이 휘는 실수요자는 눈높이를 낮춰 소형으로 몰리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[권대중/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서울·수도권 지역 입주·분양 물량도 내년에 더 적어지기 때문에 대세 하락이나 변곡점으로 시장이 변하는 시기는 아니라 봅니다." <br> <br>정부 역시 내년에 집값이 5% 넘게 오를 것으로 전망하는 등 내부적으로도 하락보다 상승에 무게를 둬 빈축을 사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윤재영 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