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오전 전국의 KT 유 무선 인터넷이 먹통이 됐습니다. <br> <br>인터넷이 안 돼 학교 수업에 출석을 못하고, 병원 시스템도 마비되고, 가게에서는 카드 단말기를 쓰지 못하는 등 곳곳에서 피해가 속출했는데요. <br> <br>3년 전 서울 아현지사 화재로 큰 피해가 난 뒤 또 KT 먹통 사태가 발생한 것인데, 사고 원인조차 오락가락입니다.<br> 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경북의 한 휴게소. <br> <br>계산하려 신용카드를 내밀자 점원이 안 된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고객님 저희가 지금 카드가 안 되거든요. 영수증도 안 됩니다." <br> <br>같은 시각 서울의 한 병원. <br> <br>[병원 관계자] <br>“월요일이고 환자가 많은 날이잖아요. 코로나 접종 예약된 사람, 어린이 독감, 노인 독감 실시간으로 입력해줘야 하는데 (인터넷이) 안되니까 쌓여버리고.” <br><br>오늘 오전 11시20분 경부터 약 40분간 이어진 KT의 유·무선 인터넷망 장애로 신용카드 결제 등 각종 서비스가 먹통이 되며 전국에서 피해가 속출했습니다.<br><br>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실시간 주식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투자자들의 원성이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특히 점심 시간대 발생한 인터넷 먹통 사태로 식당 피해도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 <br> <br>[식당 관계자] <br>“장사하려는데 끊겨서 난리였어요. 갑자기 포스가 안 되는 거예요. 주문예약 받은 게 있었는데 다 엉켜서.” <br> <br>[택시기사] <br>"모바일앱으로 호출이 와서 손님 태워야하는데 아예 호출이 들어오지 않으니까 한 시간 가량 영업을 못 했다고 봐야죠." <br> <br>한 카드사에 따르면 오늘 11시부터 한 시간 동안 이뤄진 승인건수가 전주 월요일 같은 시간보다 40%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<br>KT는 처음에는 “디도스 공격으로 추정된다”는 입장을 냈다가 오후 2시 30분경 “라우팅이라는 네트워크 경로설정의 오류로 파악했다”며 입장을 번복했습니다.<br> <br>[임종인 / 고려대 사이버국방학과 교수]<br>"외부 해커가 해킹을 해서 라우팅이 오작동을 일어나도록 한 건지 내부관리 실패로 라우팅 설정 오류기 나온 건지 이건 따져봐야 해요." <br> <br>2018년 서울 서대문구 아현지사 화재로 인근 지역 통신이 마비됐을때, KT는 당시 피해를 입은 고객에게 1개월치 요금을 감면해줬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약관에는 3시간 이상 피해만 보상하도록 돼있어, 40분간 지속된 이번 피해의 보상 규모가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이 철 <br>영상편집 김문영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