쿠데타 주역·직선 대통령, 노태우 전 대통령 사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제13대 대통령을 지낸 노태우 전 대통령이 오늘(26일) 사망했습니다.<br /><br />87년 민주화 운동 이후 첫 직선제 대통령이자 최초로 구속 수감된 전직 대통령이기도 한 노 전 대통령은 영욕이 점철된 일생을 보냈습니다.<br /><br />백길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을 지낸 노태우 전 대통령이 89세를 일기로 사망했습니다.<br /><br />지병으로 오랫동안 병상에 누워있던 노 전 대통령은 병세 악화로 서울대병원에 입원해 집중 치료를 받았지만 끝내 회복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박정희 전 대통령의 서거일인 10월 26일, 또 한 명의 전 대통령이 숨을 거둔 겁니다.<br /><br />1932년 12월 4일 경북 달성군 공산면에서 태어난 노 전 대통령은 경북고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해 동기인 전두환 전 대통령과 함께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했습니다.<br /><br />전 전 대통령과 함께 주도한 12·12 군사쿠데타로 권력의 2인자가 된 노 전 대통령은 '정치군인'에서 '정치인'으로 변신했습니다.<br /><br />초대 체육부 장관, 서울올림픽조직위원장, 민정당 대표를 지낸 노 전 대통령은 1987년 6월 민정당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후보로 지명됩니다.<br /><br />6월 항쟁 직후 6.29 선언을 발표해 대통령 직선제를 받아들인 노 전 대통령.<br /><br /> "사회적 혼란을 극복하고 국민적 화해를 이룩하기 위하여는 대통령 직선제를 택하지 않을 수 없다는…"<br /><br />김영삼, 김대중, 김종필, 이른바 야권의 3김 후보가 단일화에 실패하면서 '보통사람'을 내건 노 전 대통령이 직선 대통령이 됩니다.<br /><br />88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등의 성과를 냈고 특히 소련과 중국, 헝가리와 잇따라 국교를 맺어 이른바 '북방외교'를 성공시켰다는 평가를 받습니다.<br /><br />퇴임 후의 삶은 순탄치 않았습니다.<br /><br />1995년, 수천억 원대의 비자금을 숨긴 혐의로 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 구속됐고, 12·12 군사 반란, 5.18 광주 민주화운동 무력 진압 등 내란죄로 징역 17년, 추징금 2천 600억여 원을 선고받았습니다.<br /><br />1997년 12월 김영삼 전 대통령의 특별사면 조치로 석방됐지만 2002년 전립선암 수술 이후 내내 지병에 시달렸습니다.<br /><br />유족으로는 부인 김옥숙 여사와 딸 소영, 아들 재헌씨가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노 전 대통령은 국가장 대상이지만 현행법상 국립현충원 안장은 불가능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국립묘지법에 '내란죄'로 실형을 받은 전직 대통령은 현충원에 안장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백길현입니다. (white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