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7일 고(故) 노태우 전 대통령의 유족들은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 차려진 빈소에서 조문객들을 맞이했다. 상주로는 고인의 딸 노소영(60)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 아들 노재헌(56) 변호사, 사위 최태원(61) SK그룹 회장과 아내 김옥숙(86) 여사가 이름을 올렸으나, 이 가운데 자녀 두 사람이 담담한 표정으로 종일 빈소를 지켰다. <br /> <br /> 영국 출장 중 이날 급히 귀국해 이날 낮 빈소에 도착한 노 변호사는 취재진 앞에 직접 나서서 아버지의 유언을 대신 전했다. 그는 고인의 생전 유지(遺旨)에 대해 “국가에 대해 생각과 책임이 많았기 때문에 잘하셨던 일, 못하셨던 일 다 본인의 무한 책임이라고 생각하고 계셨다”며 “특히 5·18 희생자에 대한 가슴 아픈 부분이나, 그 이후 재임 시절 일어났던 여러 가지 일에 대해 본인의 책임과 과오가 있었다면 너그럽게 용서해주시길 바랐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노 변호사는 또 “(아버지는) ‘역사의 나쁜 면은 본인이 다 짊어지고 가시겠다’, ‘앞의 세대는 희망을 갖고 살았으면 좋겠다’는 말씀을 평소에 하셨다”고 전했다. 노 변호사는 이런 유언에 대해 “돌아가시기 전에 육성으로 남기시진 못했지만, 평소 하셨던 말씀을 간단히 정리한 것”이라며 “10년 넘게 누워계시고 소통이 전혀 안 되는 상태에 있다 보니 직접 말씀을 표현하시지 못한 게 아쉽고 안타깝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그는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도청에서 시민군 상황실장을 맡았던 박남선 광주 5·18 유족 대표가 조문을 마친 뒤, 서로 악수를 하고 어깨를 두드리기도 했다. 박 대표는 이날 “만약 전두환씨가 돌아가셨다면 오지 않았을 테지만, 노 전 대통령은 지금까지 광주 학살 만행에 대해 수차례 책임을 통감하고, 용서를 구하는 말들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18646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