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논란 끝에 고 노태우 전 대통령에 대한 장례가 국가장으로 결정됐죠. <br> <br>하지만 조기 게양을 거부하고 있는 광주시를 포함해 진보 진영 반발은 여전합니다. <br> <br>이를 의식해서일까요. <br> <br>민주당이 전두환 전 대통령은 국가장을 할 수 없도록 방지법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전혜정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더불어민주당은 전두환 전 대통령을 국가장 대상에서 제외하는 이른바 '전두환 국가장 방지법'을 이번 정기국회에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전직 대통령의 예우가 박탈된 경우 이후 사면을 받았다 하더라도 국가장을 지내지 못하게 하는 규정을 신설해 전 전 대통령의 국가장을 막겠다는 겁니다.<br> <br>현행법에는 국가장 제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윤호중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법 개정이 필요하다면 법 개정을 할 것이고요. 법 개정이 아니라도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국가장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청와대도 '전두환 국가장 방지법'에 대한 공감의 뜻을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[이철희 / 대통령 정무수석(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 <br>"전두환 전 대통령의 경우는 국가장이나 심지어 국립묘지 안장이나 이런 건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생각하고요." <br><br>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"입법 취지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"면서도 법제화가 가능한지부터 따져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대표] <br>"법제화하는 것 자체는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. 어떻게 본인들의 과오를 반성하는지에 따라 여론이 달라지기 때문에 <br>법제화를 하더라도 상당히 유연성 있는 형태로 (해야 한다고 봅니다.)" <br><br>여야 모두 대선을 앞두고 중도층과 호남 민심에 호소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한규성 <br>영상편집 최동훈<br /><br /><br />전혜정 기자 hy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