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10년을 맞은 북한에서 '김정은주의'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노동당 회의장 배경에서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의 사진이 없어진 점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가정보원 국정감사에서 나온 내용인데,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홍주예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통일외교안보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먼저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 초상이라면 북한의 지도 체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 아닌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지난 2018년 4월 열린 북한 노동당 전원회의 화면부터 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회의장 전면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할아버지와 아버지인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의 초상이 크게 걸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위쪽으론, "전당과 온 사회를 김일성-김정일주의화하자!"는 구호도 선명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우리가 통상 봐왔던 화면인데요, 이게 지금은 달라졌다는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올해 1월에 열린 8차 당대회 영상을 보면 차이가 확연합니다. <br /> <br />배경이 붉은 것은 같지만, 김일성 부자 초상은 없고 망치와 붓, 낫을 형상화한 노동당의 대형 마크만 도드라집니다. <br /> <br />국정원은 이처럼 최근 당 회의장 배경에서 김일성과 김정일 사진이 내려진 경우가 포착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'김정은주의'라는 용어도 새로 등장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국정원은 북한 내부적으로 '김정은주의'라는 용어가 사용된다는 사실도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북한엔 김일성주의나 김정일주의만 있었는데요, <br /> <br />3대인 김 위원장 집권 10년을 맞아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정립하는 작업이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우리 정부는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통일부는 아직 북한이 '김정은주의'를 공식적이고 공개적으로 언급하고 있진 않다면서 그 의도를 예단하지는 않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집권 10년을 맞이해 김 위원장을 총비서로 추대하고, 당규약을 개정해 수반으로 지칭한 점에 주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 위원장이 사실상 선대 수준의 정치적 위상을 확보했다며, 인민대중제일주의 정치 등 선대와 차별화하는 통치사상을 강화하고 확산하는 흐름도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살이 많이 빠져서 건강 이상설도 있었잖아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국정원은 2019년 140 킬로그램 정도였던 김 위원장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주예 (hongkiz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102912520728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