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항공사 인건비 지원 중단...시름 깊어진 저비용 항공사 / YTN

2021-11-01 1 Dailymotion

저비용항공사 소속 조종사, 11월 월급 크게 줄어 <br />'고용유지 지원금' 중단…무급휴직으로 전환 <br />저비용항공사 악재 쌓여…고유가 직격탄 맞아 <br />"대형 항공사에 비해 유가 상승에 취약한 구조"<br /><br /> <br />단계적 일상회복이 시작됐지만 항공업계는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그동안 제공해오던 '유급 휴직' 지원금을 모두 중단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특히 저비용 항공사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저비용항공사 소속 조종사 김 모 씨. <br /> <br />당장 이달부터 들어오는 월급이 지난달의 3분의 1수준으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11월부터 '고용유지 지원금' 지급을 중단하면서, 유급휴직에서 무급휴직으로 전환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[김 모 씨 / 저비용항공사 소속 조종사 : 소득이 정상보다 감소 폭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고정비 지출 이하의 수입으로 계속 생활을 하게 되는….] <br /> <br />고용노동부는 애초 항공사 지원금을 지난 6월까지만 지급하기로 했지만, 코로나19 확산세로 두 차례나 연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'단계적 일상회복' 조치와 함께 형평성을 고려해 11월부터 지원금 지급을 종료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정부 지원금에 의존해 오던 일부 항공사는 경영난 때문에 다시 무급휴직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통상 임금 대비 70% 수준까지 받을 수 있는 유급휴직과는 달리, 무급휴직은 50% 수준밖에 그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저비용항공사인데요. <br /> <br />지급 여력이 있어 유급휴직을 유지할 수 있는 대형항공사와 달리 저비용항공사들은 대부분 무급휴직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저비용 항공사 관계자 : 원래 6개월인데, 4개월 연장돼서 10월에 (정부 지원금이) 끝나니까…. 11월, 12월에 다 무급휴직에 들어갑니다.] <br /> <br />저비용항공사에 닥친 악재는 이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작년 대비 2배 이상 높아진 항공 유가의 직격탄을 맞은 겁니다. <br /> <br />화물운송으로 흑자를 유지하는 대형항공사와 비교해 여객 운송에만 의존하는 저비용항공사들은 유가 상승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허희영 / 한국항공대 경영학부 교수 : LCC 업계는 지금 '트래블버블'이라든가 백신 효과로 기대감이 컸는데, 유가 인상이 계속되고 또 재확산이 우려가 있으므로 LCC 업계는 또 다른 악재를 만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저비용항공사도 단계적 일상회복에 발맞춰 운항 확대 등 다양한 노력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우준 (kimwj022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10204312330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